학술논문
Curriculum desig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a sub-internship program providing a doctor’s real work experiences
이용수 99
- 영문명
- 의사의 실제 업무 경험을 제공하는 서브인턴십 교육과정 개발, 실행, 평가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세진(Sejin Kim) 이해영(Haeyoung Lee) 이상신(Sang-Shin Lee) 김민정(Minjeong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호, 251~26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1.15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서브인턴십의 장점을 극대화하고 어려움을 최소화하기 위해 새롭게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의과대학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시행한 후, 과정 평가를 통해 보다 개선된 서브인턴십 프로그램을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방법 이전 프로그램과의 비교연구를 위해 참여 학생의 2020, 2021학년도 과정 만족도를 조사하였으며, 프로그램의 결과를 평가하고 피드백을 수집하기 위해 참여 교수와 학생을 대상으로 표적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을 실시하였다. 2020학년도에는 총 76명, 2021학년도에는 총 59명의 응답을 받아 분석하였고, 교수 4명과 학생 4명의 표적집단면접을 실시하고 두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그 응답을 분석하였다.
결과 이 연구를 통해 세 가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학생 스스로 실습 과를 결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실제적인 임상 경험을 얻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학습 동기가 향상되었다. 둘째, 서브인턴십은 의과대학 3, 4학년을 통해 진행하는 임상실습(rotation-based clerkship)과는 분명하게 다른 실습을 제공하고 있었다. 셋째, 다양한 행정적 도움을 통해 프로그램의 운영을 돕고 프로그램의 효과적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들의 외재적 동기도 향상시킬 수 있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네 가지 제언을 도출하였다. 첫째, 임상 실습의 실제성(authenticity)은 서브인턴십의 성공적 결과를 위해 필수적인 요소이다. 둘째,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는 임상 과의 차이에 따라 교육과정 및 평가 기준을 다르게 구성해야 한다. 셋째, 온라인 실습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실습은 제한적인 대면 교육의 대안으로 실시 할 수 있다. 넷째, 의과대학과 부속 병원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1) redesign the sub-internship program to maximize the benefits and minimize the difficulties of the program, (2) implement the redesigned program for fourth-year medical students at a medical school in Korea, and (3) evaluate the results of the program to demonstrate the value of the program and provide an improved sub-internship to the students.
Methods A comparative study was employed using program satisfaction surveys from the previous curriculum design in 2020 and the curriculum design modified in 2021. Focus group interviews (FGI) were also conducted with the students and professors to receive feedback and evaluate the results of the program to demonstrate its value. A total of 76 students in 2020 and 59 students in 2021 responded. We aimed to recruit four students and four professors through purposeful sampling for the interviews.
Results We found three key findings in this study. First, providing the right to select a department by the students helped them to acquire learning motivation from authentic clinical experiences. Second, there were unique differences between the sub-internship and the rotation-based clerkship. Third, various types of logistical support for the sub-internship program and to enhance the students’ external motivation were needed for the program to be successful.
Conclusions A couple of strategies are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First, the authenticity of the clinical practices is the most essential factor in the sub-internship. Second, the curriculum and evaluation criteria of a sub-internship program should be considered to develop or modify the program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epartment. Third, a hybrid clinical training with limited face-to-face meetings could be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to the sub-internship. Last, close cooperation between the college of medicine and the affiliated hospital is needed for the success of the sub-internship.
목차
Ⅰ. Introduction
Ⅱ. Research Design and Methods
Ⅲ. Results
Ⅳ. Conclusion and Discus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