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러시아어와 한국어의 자음 음소 변동 제약

이용수 8

영문명
Consonant Change Constraints in Korean and Russian: An Optimality Analysis
발행기관
한국슬라브어학회
저자명
이명자
간행물 정보
『슬라브어 연구』제5권, 123~140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0.07.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has been concerned with an optimality analysis of the consonant deletion, neutralization, and assimilation in Korean and Russian. As frequently attested in many other languages, the syllable-final consonants in Korean tend to be simplified : The [+continuant, -sonorant] consonants neutralize into [~continuant] sounds if they occur in a syllable-final position, and if two consonants occur in a syllable-final position, one consonant must be deleted. So it has been argued that the consonant deletion and the neutralization are triggered by the constraints like *COMPLEX and CODA-COND. The two consonants cause a conflict between :MAX and DEP. If we want to satisfy the two constraints, we must violate either MAX or DEP. It has been claimed that the behavior of final consonants in native Korean words can be explained by the ranking DEP》MAX. This Paper has provided an optimality analysis of the neutralization of word-final consonant and the voicing assimilation of consonant clusters in Russian. WSA-left, IDENT and CODA~COND have been used for the purpose of this paper. Thus the voicing assimilation of double consonants can be accounted for by the ranking WSA~left > IDENT > CODA-COND. In conclusion it has been claimed that the language-specific feature contrast of universal constraints is more important for the difference of Korean and Russian double consonants.

목차

Ⅰ. 서론
Ⅱ. 어말자음의 중화
Ⅲ. 겹받침 단순화와 역행동화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명자. (2000).러시아어와 한국어의 자음 음소 변동 제약. 슬라브어 연구, 5 , 123-140

MLA

이명자. "러시아어와 한국어의 자음 음소 변동 제약." 슬라브어 연구, 5.(2000): 123-140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