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Affection(情感) of Guest(客) Appearing in Jeho(霽湖) Yang Gyeong wu’s(梁慶遇) Chinese Poems
- 발행기관
- 동방한문학회
- 저자명
- 黃珉仙(Hwang, Min-sun)
- 간행물 정보
- 『동방한문학』제87호, 193~22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국문 초록
서자 출신으로 임진왜란 때 전공이 있어 벼슬 생활을 시작할 수 있었던 양경우는 시에 능했던 재능을 인정받아 사신을 접대하는 일에 4차례나 차출되기도 했고 文科重試에 뽑히기도 했다. 그러나 그의 벼슬 생활은 잦은 탄핵과 파직, 낙향 등과 같은 굴곡이 많았다. 임진왜란 이후 광해군 시기의 불안한 정치적 상황과 서자출신이라는 신분적 한계를 극복하기 어려웠던 것이다. 본고는 기존 제호 양경우의 연구가 그의 시화집인 『제호시화』에 집중되었던 것에서 벗어나 그의 시세계를 보다 다각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점을 집중하였다. 이를 위해 불안한 정치 상황과 신분적 한계로 인한 부침이 많았던 그의 벼슬 생활을 대변할 수 있는 시어인 “客”의 이미지가 담긴 한시들을 주요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이를 통해 제호 시에서 “客”의 정감이 갖는 대표적인 이미지를 시름[愁]으로 파악하고 객의 시름을 표출하는 양상을 세 가지로 분석하였다. 이런 제호 한시의 객의 정감 표출 양상 연구는 그의 시 세계의 일면을 이해하는데 단초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영문 초록
With the illegitimate origination, Yang Gyeong wu, who was able to start a government post life as he had meritorious services in war during the Imjin War of Japanese Invasion, was selected four times to host envoys in recognition of his talent for poetry, and was also elected in the civil minister post examination(文科重試). However, his government post life had many twists and turns, such as frequent impeachment, dismissal, and rustication. After the Imjin War of Japanese Invasion, it was difficult for him to overcome the unstable political situation in Gwanghae gun era and the status limit of his illegitimate birth. This study focused on the point that Jeho Yang Gyeong wu s research should not be focused on his poem and picture book, “Jeho s Poems and Pictures”, but should approach his poetic world in a more multifaceted way. To this end, Chinese poems containing the image of ‘guest (客)’, a poetic word that can represent his government post life, which had many ups and downs due to the unstable political situation and personal status limitations, were selected as the main research subjects. Through this, the representative image of affection of ‘guest(客)’ in Jeho’s poems was identified as anxiety(愁), and three aspects of expressing guest s anxiety were analyzed. It is thought that this study on the expression aspects of the guest’s affection appearing in Jeho s Chinese poems will be a starting point in understanding an aspect of his poetic world.
목차
1. 머리말
2. 객의 정감이 담긴 제호 한시의 개관
3. 제호 한시의 객의 정감 표출 양상
4. 맺음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