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to Verify the Practicality of Introducing an Arson Dog (K-9) Unit in Field Investigations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류호승(Ho-Seung Ryu) 최승복(Seung-Bok Choi) 김민선(Min-Sun Kim) 최영진(Young-Jin Choi) 최돈묵(Don-Mook Choi)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35 No.6, 105~111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국문 초록
방화범죄의 대표적 행위는 인화성 물질 살포이다. 현재 한국의 화재조사는 조사관의 후각이나 재래식 가스 검지기를이용하여 인화성 물질을 찾아내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광범위한 장소와 건물이 해체된 현장에서 적용하기 곤란하고비효율적이다. 방화 탐지견의 후각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 탄화수소 계열 연소 잔해와 소량의 인화성 물질의 분별 능력,넓은 개활지 탐지 그리고 실제 화재 현장에 인화성 물질을 찾아내는데 약 5 s에서 77 s가 소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인화물질의 촉진제를 살포한 화재 현장에서 방화의 입증을 위한 방화 탐지견의 도입이 실용적임을 입증하였다.
영문 초록
Combustion improvers are often found in acts of arson. Until recently, in fire investigations in Korea, these substances havebeen identified only by the olfactory sense of the fire inspectors or conventional gas detectors. These methods are neitherefficient nor feasible in damaged buildings or large areas. Research on the canine sense of smell has shown that a dog candistinguish the remains of combusted hydrocarbon compounds, even in a large, open area. Field tests confirmed that arsondogs can find combustion improvers at fire sites in about five to 77 s. Therefore, this study verified the practicality ofintroducing arson dog units in field investigations of fire sites to identify combustion improvers sprayed for committing arson.
목차
1. 서 론
2. 방화 탐지견의 조건
3. 방화 탐지견 훈련
4. 결과 및 고찰
5. 결 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