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rend Analysis of Research Papers Related to Early Childhood Supervision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박기홍(Kee-Hong PARK) 임상도(Sang-Do RIM)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8권6호, 221~24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1988년부터 2021년 6월까지 유아장학 관련 연구논문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자료는 유 아장학의 일반적 연구동향(연대, 유아교육영역, 장학방법)과 유아장학의 연구방법 및 연구결과의 연 구동향(연구유형, 연구대상, 자료수집방법, 자료분석방법, 연구결과)으로 구분한 후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장학 관련 연구는 제3기(2000-2009년) 연대 이후에 급격히 증가하 였고, 유아교육영역 중에서는 유아교사교육, 유아장학의 방법에는 자기장학(자율장학)이 가장 많이 연구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장학의 연구유형은 양적연구와 질적연구가 주류를 이루는 가운 데서 유아교사를 연구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자료수집방법과 자료분석은 질적연구, 기술 통계, 차이검증, 문헌분석 순으로 많이 사용되었고 유아장학의 연구결과는 수업 및 교수법 개선에 효과적이라는 것이라는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유아장학 관련 연구의 실태와 동향을 포괄적 분석하여 향후 유아장학 관련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한 점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s of research papers related to supervis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rom 1988 to June 2021. Data were divided into general research trends of early childhood supervision (year class, early childhood education area, supervision method) and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results of early childhood supervision research type, research subject, data collection method, data analysis method, research result). After that, it was analyz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As result, research related to early childhood supervision increased rapidly after the 3rd period (2000-2009). Among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s,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and self-directed supervision field (autonomous supervision) were the most studied method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ppeared to be second, among the research types of early childhood supervision, quantitative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were the mainstream, and the most research subjects were early childhood teachers. Data collection methods and data analysis were most frequently used in the order of qualitative research, descriptive statistics, difference verification, and literature analysi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suggests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related to early childhood supervision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s and trends of early childhood supervision-related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