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of KEPCO e-IoT Standard Type oneM2M Gateway for Efficient Management of Energy Fac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전자통신학회
- 저자명
- 심현(Hyun Sim) 김요한(Yo-Ha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제16권 제6호, 1213~1221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공학 > 전자/정보통신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50 탄소중립 정책으로 에너지신산업 분야 혁신기술개발 일환의 ICT기술에 기반한 디지털화연구로서 각각의 에너지 설비의 외부 인터페이스와 연동하여 통합관리 할 수 있는 oneM2M 기반 IoT 서버플랫폼 개발이다. 전력 공기업인 한전은 에너지 IoT ‘SPIN(Smart Power IoT Network)’ 구축을 통한 한전 e-IoT 표준 규격을 분석하고 oneM2M 및 LWM2M Gateway Platform을 개발한다. oneM2M은 기존 Release1 대신 최근에 발표된 Release2에 대한 규격을 확보 및 분석하여 R2를 기준으로 e-IoT 표준 oneM2M 플랫폼을 개발하고, 또한 한전 e-IoT 표준을 충분하게 구현할 수 있는 e-IoT Gateway 장치 규격을 선정하고 향후 확장성까지 고려한 고성능의 Gateway 장치를 개발하고 관련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digitalization study based on ICT technology as part of the development of innovative technologies in the new energy industry as a 2050 carbon-neutral policy. It is the development of an oneM2M-based IoT server platform that can be integrated and managed in conjunction with the external interface of each energy facility. It analyzes KEPCO s e-IoT standard specifications through the Power Research Institute s SPIN and develops representative standards, LWM2M and oneM gateway platforms. OneM2M secures and analyzes the recently announced standard for Release 2 instead of the existing Release 1. In addition, the e-IoT standard oneM2M platform is developed based on R2. In addition, it selects the specifications for e-IoT gateway devices that can sufficiently implement KEPCO s e-IoT standards. In addition, a technology and system for developing a high-performance gateway device that considers future scalability were proposed.
목차
Ⅰ. 서론
Ⅱ. 관련 연구
Ⅲ. 에너지 IoT 통합 게이트웨이 플랫폼
Ⅳ. 결론 및 향후개선 방향
Reference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