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reliminary Child Care Teachers’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experiences in the COVID-19 Pandemic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혜정(Lee haej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24호, 15~25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19 상황에서 보육실습을 통한 예비보육교사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경험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첫째, 2021년 B대학 9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네이버 폼을 이용하여 2021년 7월 15일- 2021년 7월 23일에 걸쳐 실시하였다. 둘째, 구체적인 면담을 위하여 참여 의사를 보인 22명을 대상으로 실습 전, 실습 중, 실습 후에 걸쳐 대면, 줌(ZOOM)과 SNS를 분석하였고 자유 형식의 저널 및 소감문을 작성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그 결과 코로나 19상황에서 예비교육교사들이 경험한 보육실습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경험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적 경험은 교사 자신의 신체적인 측면과 유아 측면에서의 경험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실습 전, 실습과정, 실습 후에 따라 심리적 변화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부의 방역지침변화, 보육실습운영의 변화 및 보육현장의 변화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펜데믹 상황에서의 보육실습에 관한 다양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experiences of prospective child care teachers through child care practice in the context of Corona 19.
Methods At first, a survey was conducted on 185 university students from 2020-2021. Second, the journal, ZOOM and SNS were analyzed for 46 people who expressed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for specific interviews.
Results As a result, the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experiences of child care practices experienced by prospective education teachers in the Corona 19 situ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physical experience was shown as the teacher s own physical and infant aspects, and second, psychological changes were shown before, after, and after practice. Third, changes in the government s quarantine guidelines, changes in the operation of child care practices, and changes in child care field.
Conclusions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variety of basic data on child care practices in a pandemic situ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