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election of Korean business vocabulary and application-based education for Chinese learn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화택화(He Zehua) 박덕유(Park deokyu)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24호, 61~8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한⋅중 양국에서 출판된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어휘를 대상으로 비즈니스 어휘 목록을 선정하여 애플리케이선을 기반으로 비즈니스 한국어 어휘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방법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의 개념과 분류를 통해 한국어 비즈니스 어휘의 특성을 밝히고 모바일 학습과 한국어 교육적 가치를 고찰하였다. 한국과 중국에서 출간된 한국어 비즈니스 교재에서 다루고 있는 어휘를 분석하기 위해 Excel을 이용하여 2차례에 걸쳐 어휘 선정을 실시하었다.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에서 사용하는 어휘를 살펴보는 것이므로 각 교재의 목표 어휘를 통계적 접근에 따라 1차 어휘 선정은 기본 어휘만 선정하였고, 2차 어휘 선정은 1차에서 선정된 어휘를 중복 빈도 기준으로 애플리케이션 기반 방법을 활용하여 선정하였다.
결과 한⋅중 양국에서 출판된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 7권을 선정하여 2차에 걸쳐 어휘 목록을 선정하였다. 1차 선정은 일상생활에서 주로 사용하는 기초 어휘를 제외하고 특수 목적 중에 비즈니스와 관련된 기본 어휘를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 3,285개 단어 중 19.6%인 644개 어휘를 선정하였다. 2차 선정은 어휘 빈도가 높은 어휘를 기준으로 644개 어휘 중 74.07%인 477개 어휘를 선정하였다.
결론 중국인 비즈니스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한국어 어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어휘 목록을 선정하고, 애플리케이션 기반으로 효율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mprove business Korean vocabulary skills based on application lines by selecting a list of business vocabulary for vocabulary presented in business Korean textbooks published in Korea and China.
Methods Through the concept and classification of business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business vocabulary were revealed, and mobile learning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values were considered. In order to analyze the vocabulary covered in Korean business textbooks published in Korea and China, vocabulary selection was conducted twice using Excel. Since vocabulary looks at the vocabulary used in business Korean language education, only the basic vocabulary was selected for the primary vocabulary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approach, and the application-based method was used for the secondary vocabulary selected in the first.
Results Seven business Korean textbooks published in both Korea and China were selected and a vocabulary list was selected twice. The primary selection quantitatively analyzed the basic vocabulary related to the business during special purposes, excluding the basic vocabulary used primarily in everyday life, and selected 644 vocabulary, 19.6% of the 3,285 vocabulary. The second selection selected 477 vocabulary, or 74.07% of 644 vocabulary, based on vocabulary with high frequency.
Conclusions For Chinese business purposes, the vocabulary list was selected to improve Korean vocabulary skills for Korean learners, and an application-based efficient training method was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애플리케이션을 기반한 교육 방안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