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신동희(Donghee Shin) 이영희(Younghee Cheri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24호, 167~18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여대생 영어 전공 학생들의 영어 학습에 대한 신념을 Horwitz의 언어 학습 척도 (BALLI) 설문지를 통해 분석하고, 각 학년에 따라 영어 학습에 대한 신념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를 위해 2021년 봄 학기에 한국 여대생 71명을 대상으로 BALLI 설문지를 통한 양적 자료와 11명과의 인터뷰를 통한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여대생 영어전공학생들의 영어 학습 신념에 차이가 있는지 각 학년 별 평균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학생들은 영어가 학습하기에 중간 정도 어렵다고 생각했지만 누구나 영어 말하는 것을 습득할 수 있다고 믿었다. 또한 많은 학생들은 영어 습득을 위해 가장 중요한 전략은 반복하고 연습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영어를 배우는 주된 원인은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였고 많은 학생들이 영어를 잘하면 더 좋은 직장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학습자의 신념과 각 학년에 따른 신념의 차이는 “언어학습의 성격”과 관련된 신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결론 교사는 학습자가 영어 학습에 대해 어떤 신념을 가지고 있는지 진단하고 학습자로 하여금 영어 학습에 대한 자신의 신념을 더 잘 이해하고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학습자의 긍정적 신념이 지속될 수 있도록 격려하되 부정적 신념은 완화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교사는 학습자의 영어 학습에 대한 신념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이는 수업에서 영어 학습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가능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article aims to discuss female English major students’ beliefs about English language learning at the tertiary level, hinged upon Horwitz’s Beliefs about Language Learning Inventory (BALLI), thereby identifying salient differences in learner beliefs by different academic years.
Methods The BALLI questionnaire was used to obtain quantitative data from 71 Korean women’s university students, 11 of whom further volunteered to engage in interviews conducted for data collections during the spring semester of 2021.
Results The results evidenced that students assumed that they could learn to speak English even though they considered it was a medium-difficult language to master. Most participants also perceived that practicing and repeating as much as possible was one of the most critical tactics at their disposal. The primary motivation for learning English was to understand the language’s speakers better; they believed that if they were equipped with proficiency in English, it would help them land a decent career.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beliefs and different academic year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observed in the beliefs associated with “the nature of language learning.”
Conclusions The findings indicate that teachers diagnose students’ beliefs about English learning, thus better understanding and becoming aware of them. Students’ positive beliefs should be sustained and encouraged, but their negative beliefs could be alleviated by teachers’ positive instructional practices in class, instilling positive and efficient beliefs about English language learning. It is further suggested that teachers are fostered to counter flawed beliefs with valid information and pertinent knowledge as they have the prospects to affect learners’ belief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Method
Ⅳ. Results and Discussion
Ⅴ. Conclusion and Implication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