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임대주택 입주자 주거만족도 분석 연구

이용수 278

영문명
Research Analysis of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for the Residents of the Rental Housing
발행기관
대한부동산학회
저자명
이창종(Lee, Chang Jong)
간행물 정보
『대한부동산학회지』제62호, 95~109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개발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공공임대주택과 민간임대주택간 주거만족도를 비교하는 연구가 아직 부족한 실정에서, 공공임대주택과 민간임대주택 입주자의 주거만족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향후 주택정책 방향의 가이드를 제시하고자 한다. 공공임대주택에 비해 민간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대략적 경향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의 4개 영역별로도 ‘주택관리’ 영역을 제외하고, ‘주택의 실내환경 및품질’, ‘주택의 입지환경’, ‘경제성’의 3개 영역에서 공공임대주택에 비해 민간임대주택 거주 자의 주거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만족에 대한 종합적 판단이라고 할 수 있는 전반적 만족도 역시 공공임대주택에 비해 민간임대주택의 만족 도가 높게 나타났다. 각 영역별로는 ‘주택의 실내환경 및 품질’, ‘주택의 입지환경’, ‘경제성’ 영역의 경우 민간임대주택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주택관리’ 영역에서는 공공임 대주택의 만족도가 높은 경향을 보이고 있다. ‘임대보증금의 적절성’의 경우에는 양자가 거의 유사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hat despite the reality that the research that compare the level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is still at infanc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level of residential satisfaction of the private rental housing residents and the public rental housing residents. Through this, the study presents guidelines on the future directions of the future housing policy. Compared with public rental housing, in general terms, the level of residential satisfaction for private residential housing has a higher tendency. Even with the exclusion of the field of residential management out of the four fields of in this study, the remaining three fields of interior environment and quality of the housing , locational environment of the housing and economic feasibility showed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for the private rental housing than the public rental housing. Also, general level of satisfaction which can be considered as the comprehensive judgement on the residental satisfaction of the rental housing residents too, showed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for the private rental housing residents against the public counterparts. In the fields of interior environment and quality of the housing , locational environment of the housing , and economic feasibility , the private residential housing showed generally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However, in terms of housing management , the public rental housing showed generally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With regard to appropriateness of the security deposits , the private and the public showed similarities between each other.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분석의 틀
Ⅳ. 실증분석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창종(Lee, Chang Jong). (2021).임대주택 입주자 주거만족도 분석 연구. 대한부동산학회지, (62), 95-109

MLA

이창종(Lee, Chang Jong). "임대주택 입주자 주거만족도 분석 연구." 대한부동산학회지, .62(2021): 95-109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