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conomic Performance of Regional Specialization Projects: Focusing on Abandoned Mine Areas
- 발행기관
- 한국지적학회
- 저자명
- 김선주(Kim, Sun Ju) 오정석(Oh, Jung Seok)
- 간행물 정보
- 『한국지적학회지』한국지적학회지 제37권 제3호, 115~12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폐광지역의 지역특성화사업의 경제적 성과를 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강원랜드의 생산유발효과는 44,997,444백만 원, 부가가치유발효과는 18,465,788백만 원, 취업유발효과는 520,646명으로 나타났다. 2) 국고의 생산유발효과는 10,449,388백만 원, 부가가치유발효과는 4,753,336백만 원, 취업유발효과는 95,975명이었다. 3) 전체 결과는 생산유발효과는 55,446,831백만원, 부가가치유발효과는 23,219,124백만 원, 취업유발효과는 616,621명으로 나타났다. 폐광지역의 특화사업을 다양화하고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재정지원을 제공하며 장기적 로드맵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Economic Performance of Local Community Specialization Project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production inducement effect(PIE) of Kangwon Land was 44,997,444 million won, the value-added inducement effect(VIE) was 18,465,788 million won, and the employment induction effect(EIE) was 520,646 people. 2) The PIE of the national fund was 10,449,388 million won, VIE was 4,753,336 million won, and EIE was 95,975 people. 3) The overall results showed that PIE was KRW 55,446,831 million,VIE was KRW 23,219,124 million, and EIE was 616,621 people. The implication is that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specialized projects of the abandoned mine areas, provide stable and continuous financial support, and prepare a long-term roadmap.
목차
1. 서 론
2. 선행연구 검토
3. 이론적 논의
4. 실증분석
5.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