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문 초록
우리나라는 매년 태풍과 호우 등에 따른 침수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며;이로 인해 도심지의 인명;재산 피해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홍수피해 규모를 저감하기 위해서 한정된 예산에서 효율적으로 재난관리를 하기 위한 일환으로 치수사업의 경제성 분석을 실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차원 홍수피해 산정 기법(이하 다차원법)을 사용하여 태풍 차바로 인한 울산광역시 침수 피해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하지만 다차원법에 적용되는 토지피복도는 자료의 해상도;갱신주기 등과 관련해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국내 및 국외 연구사례를 살펴본 결과;홍수 관련 분야에서 격자자료가 활용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규 공간분석자료인 도로명주소 전자지도;100 × 100 m 격자단위 공간분석자료를 활용하여 수행한 경제성분석 결과를 기존 분석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여기서 격자자료의 경우에는 중심점 방식과 면적비 방식으로 적용하여 피해액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격자자료(중심점 방식)가 경제성 분석에 적합한 공간분석자료임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In Korea;flood damage occurs every year due to typhoons and heavy rains;resulting in increasing damage to human lives and properties in urban areas. To reduce the scale of flood damage;economic analyses of flood-control work are conducted as part of efficient disaster management in the context of a limited budget. In this study;a quantitative evaluation of flood damage in Ulsan due to Typhoon Chaba was conducted using multi-dimensional flood damage analysis (MD-FDA). However;the land cover map applied to MD-FDA has limited data resolution and update intervals. Examin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cases to complement these spatial analysis data showed that grid data were being used in disaster-related fields. This study evaluated whether grid data are suitable for quantitative assessment through economic analyses conducted using new spatial analysis data such as road name address digital maps and 100 × 100 m grid-based spatial analysis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center-point-method grid data constitute spatial analysis data suitable for economic analysis.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론
3. 태풍 차바에 의한 울산광역시 피해액 산정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