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co-regulation, self-control, academic optimism, and grit of university students through liber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신민(SHIN, MIN) 양정모(Yang, Joung Mo)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23호, 63~74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이는 학습자 개인 특성 중 협력적 자기조절, 자기통제, 학업 낙관주의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이러한 변인들이 성공을 예측하는 요인인 Grit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의 표집 대상은 지방 4년재 대학인 W 대학교와 U 대학교의 1학년 신입생 총 1,000명이었으며, 이들 중 회수된 947명(회수율 94.7%)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구체적인 분석 방법은 첫째, 대학생들의 협력적 자기조절, 자기통제, 학업 낙관주의와 성공을 예측하는 것으로 알려진 Girt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r)를 분석하였다. 둘째, 협력적 자기조절, 자기통제, 학업 낙관주의 요인들과 Grit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먼저 AMOS를 활용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변인 간의 타당도를 검증하였고, 다음으로 연구모형에 대한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협력적 자기조절, 자기통제, 학업 낙관주의 요인들이 Grit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SPSS를 활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Grit은 협력적 자기조절, 자기통제, 학업 낙관주의 모두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각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본 결과, ‘협력적 자기조절’ 요인이 ‘자기통제’ 요인, ‘교수에 대한 믿음’ 요인, ‘학업적 자기효능감’ 요인, ‘Grit’ 요인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수에 대한 믿음’ 요인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요인은 ‘Grit’ 요인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자기통제는 Grit에 유의미하게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협력적 자기조절, 자기통제, 학업 낙관주의 요인들이 Grit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협력적 자기 조절력이 강하고, 자기통제에는 다소 서툴지만, 학업 낙관주의가 높은 학생일수록 Grit이 높다고 추론할 수 있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들의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대학 교육에서 학생들의 학습 방법을 고안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this study, we wante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co-regulation, self-control and academic optimism among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learners that are likely to affect project-based learning, and how these variables affect Grit, a factors that predict success. Methods A total of 1,000 students from W University and U University in the province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nd 947 students (recovery rate 94.7%) were collected among them for final analysis. First, we analyzed Pearson s momentum correlation coefficient (r) to examine Girt s correlation, which is known to predict cooperative self-regulation, self-control, academic optimism, and success of university students. Second, in order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ooperative self-regulation, self-control, and academic optimism factors and Gri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first performed using AMOS to verify the validity of variables, and the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to the research model was analyzed. Finall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operative self-regulation, self-control, and academic optimism on Grit. Results Grit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ooperative self-regulation, self-control, and academic optimism. In addi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Grit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of cooperative self-regulation, self-control, and academic optimism. In addi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it was found that the ‘cooperative self-regulation’ factor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control’ factor, ‘belief in professors’, ‘academic self-efficacy’ factor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Grit’ factor.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self-control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Gri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s of cooperative self-regulation, self-control, and academic optimism on Grit, it can be inferred that students with strong cooperative self-regulation and somewhat poor self-control but higher academic optimism have higher Grit.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importance of project-based learning by university students can be recognized and used as basic data in devising the learning methods of students in university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