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 and Their Educational Us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서미옥(Suh, MeeOc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23호, 109~12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목적은 미래 교육에서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과 태도를 조사하고, 앞으로 예비교사 양성기관에서 어떤 방식의 교수전략을 계획해야 하는지에 대한 방안을 탐색하려는 것이다. 방법 연구참여자는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들로 모두 77명이다. 이들은 2020년 가을학기에 D대학교의 스마트 존에서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체험을 1회 하였다. 이들은 체험 후에 4가지 문항으로 된 온라인 설문 조사에 응답하였으며 이들의 응답 보고서를 토대로 양적, 질적 데이터 수집이 이루어졌다. 결과 예비교사의 대부분은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에 대한 개념과 의미를 알고 있었고, 체험한 적이 있었다. 특히 수집된 질적 자료에 의하면 예비교사들은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체험을 통해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모두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들이 가르칠 전공 분야에 활용할 구체적인 교수설계 방안도 계획하고 있었다. 결론 미래 교육에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활용하려면 교원양성기관에서 예비교사를 위한 교육과정을 개설하고, 교육 공학적 접근을 더 강화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pre-service teachers on how to apply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in future education, and to explore ways to plan what kind of teaching strategy in the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77 pre-service teachers enrolled in the college of education. They experienced VR and AR once in the smart zone of D university in the fall semester of 2020. After the experience, they responded to a four item online survey, and quantative and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based on their response reports. Results Most of the pre-service teachers knew the concepts and meanings of VR and AR, and had experience. In paticular, according to the collected qualitative data, they recognized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through VR and AR experience. They were also planning a specific instructional design to be used in the major subjects they were going to teach. Conclusions In order to utilize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in futur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open a curriculum for pre-service teacher in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and to strengthen educational technology approaches. This study was provided insights,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using VR and AR in school practi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