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nfluence of the Question-based Havruta Classes Using Fairy Tales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윤미(Lee, Yun Mi) 문혜련(Moon, Hae Ly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23호, 143~15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동화를 활용한 질문중심의 하브루타 수업을 실시하여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유아의 창의력 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실험집단 어린이집 4세 유아 15명, 비교집단 어린이집 4세 유아 15명, 총 30명을 대상으로 유아 종합창의성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유아의 창의성을 실험처치 전과 후에 측정하였다. 결과 동화를 활용한 질문중심의 하브루타 수업을 실시한 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창의성 전체 및 창의성의 하위요인 중 유창성을 제외한 융통성, 독창성, 상상력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동화를 활용한 하브루타 수업이 유아의 창의성을 향상시켰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 동화를 활용한 질문중심의 하브루타 수업이 유아의 창의성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question-based Havruta class using fairy tales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to provide the obtained results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for promoting young children’s creativity.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 young children aged 4 years who were in two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cho-gu, Seoul, Korea. The subjects were divided equally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It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al treatment using the young children creativity test tool.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whole of creativity and its subfactors such as flexibility, originality and imagination, except fluency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Havruta class using fairy tales improved the the creativity of young children. Conclusions It is considered that the question-based Havruta class using fairy tales could be utilized as an useful tool for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s improving creativity of young childre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