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Youth Smartphone Dependenceon Perception of Academic Achievement: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Academic Engagemen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지우(Jiu Park) 임규연(Kyu Yon L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23호, 477~49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와 학업성취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학업열의가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는지 탐색하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KCYPS 2018)의 1차년도 자료에서 중학교 1학년 학생 총 2,590명 데이터의 결측치를 EM 대체하여 사용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의존도를 독립변수, 학업성취를 종속변수, 자아존중감과 학업열의를 직렬 이중매개 변수로 상정하여 SPSS 23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직렬 이중매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PROCESS macro model 6를 활용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첫째, 스마트폰 의존은 자아존중감, 학업열의, 학업성취에 대한 인식 모두를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자아존중감은 학업열의를 정적으로 예측하였으나, 학업성취에 대한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지 않았다. 셋째, 학업열의는 학업성취에 대한 인식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넷째, 스마트폰 의존과 학업성취 인식 간의 관계에서 학업열의의 단순매개효과와 자아존중감 및 학업열의의 직렬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학습 상황에서 스마트폰 활용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강조되는 현 시점에서, 긍정적인 학업성취를 돕고 청소년들의 스마트폰과의존을 방지하기 위한 적절한 대처가 요구된다. 또한 스마트폰을 활용하는 학습 상황에서 청소년들의 학업열의를 촉진하기 위한 정서적 지원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academic eng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dependence and perception of academic achievement. Methods Panel data of 2,590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collected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for the first year of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 was analyzed in this study. The EM method was used for the imputation of missing values. Smartphone dependence was analyz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perception of academic achievement as a dependent variable, and self-esteem and academic engagement as a series of dual mediation parameters. SPSS 23 program was used for the analysis, and especially PROCESS macro model 6 was used to analyze the dual mediating effect. Results First, the level of smartphone dependence had negative effects on self-esteem, academic engagement, and perception of academic achievement. Second, self-esteem predicted academic engagement but not the perception of academic achievement. Third, academic engagement affected the perception of academic achievement. Fourth, self-esteem and academic engagement had a du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smartphone dependence and the perception of academic achievement. Conclusions Adequate interventions in smartphone us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re required to facilitate positive academic achievement and prevent youth from overreliance on smartphones. In addition, emotional support is needed to promote academic engagemen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when learning with a smartphon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