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Understanding teacher learning community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ocusing on Actor-Network theor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고은(Choi Go Eun) 김지현(Kim Ji Hyeon) 정혜영(Jung Hye Yo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23호, 511~53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을 통해, 유아교육현장의 복잡하고 역동적인 교사배움공동체를 새로운 관점으로 이해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방법 최근 주목하고 있는 Bruno Latour의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에서 ‘행위자, 네트워크, 번역’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현장의 교사배움공동체에 대한 복잡성을 탐색하기 위해 문헌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유아교사들의 교육적 실천행위와 함께 배움공동체가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결과 첫째, 유아교사배움공동체에서 관계하는 비인간의 행위성을 인간과 동등한 위치에 놓음으로써, 유아교육현장의 교사배움공동체에서 교육적, 사회적 관계로 연결되어 작동하는 비인간 행위자들의 영향력과 행위성을 포착할 수 있었다. 둘째, 유아교육현장의 교사배움공동체는 예측불가능하고 복잡한 교육적 상황과 얽혀 있음으로써, 미리 정해진 고정적인 요인으로 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생성과 소멸을 반복하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생성적 되기의 과정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유아교사배움공동체에서 교육현상과 연결된 다양한 행위자와의 관계 맺음을 번역의 과정으로 이해함으로써, 유아교사의 교육실천 행위의 변화 과정을 새롭게 이해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현재 유아교사들이 경험하고 있는 배움공동체에 대한 다면적이고 복잡한 실천의 현상을 다시 이해하는데 새로운 관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아교육혁신의 주체로서 함께 배우고, 성찰하고, 공유하며, 협력하는 교사배움공동체를 정책적⋅실천적으로 어떻게 지원해야 할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new perspectives and insights to understand the complex and dynamic process of teacher-learning community, through Actor-Network Theory. Methods A review of the literature is conducted to explore the complex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 learning community, based on the main concept of Actor-Network Theory, ‘actor, network, and translation’. Through this, the implications are derived, focusing on how the learning community works with pedagogical practi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sults First, this study shows the possibility to understand the influence and agency of non-human actors which are connected through educational and social relationships in early childhood teacher learning community, by placing non-human actors on the same level as human actors.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 learning community is intertwined with an unpredictable and complex educational situation, so it is not defined as a predetermined element but is viewed as a process of becoming generative connected by a network that repeats creation and extinction. Third,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change proc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dagogical practices, by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with various actors connected with the educational phenomenon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as a process of translation. Conclusions This study can provide different perspectives to understand the multifaceted and complex practice of early childhood teacher learning community. It also offers new implications on how to support teacher community that learns, reflects, shares, and cooperates together as major acto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novation in policy and practice.
목차
Ⅰ. 서론
Ⅱ. 유아교육현장에서의 교사배움공동체 이해하기
Ⅲ.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으로 유아교육현장의 교사배움공동체 다시보기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