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tudy on the Non Face to Face Class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in Teacher Training Cours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안지령(Ahn, Jiry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23호, 581~59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19 팬데믹 장기화로 인해 예비유아교사가 비대면 수업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였고, 이를 어떻게 인식을 하고 있으며, 그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이를 위해 대학에서 비대면 수업 경험이 있는 예비유아교사 8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2021년 4월부터 7월까지 연구 참여자별로 2회기에 걸쳐 비대면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은 비대면 수업 경험을 통하여 자유로운 시간 활용, 준비되지 않은 수업환경과 제한된 상호작용 등의 다양한 경험의 존재자, 변화하는 교육 패러다임에 대한 준비하는 자로 유연하면서도 준비하는 교사, 성장을 위한 도전하는 자로자기성찰의 기회이자 ‘교사됨’에 대한 재해석을 할 수 있는 기회로 그 의미를 두고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 효율적인 비대면 수업 활용 방안 구축을 위해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겠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nderstanding on the non face to face class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in teacher training course. Methods For this study, eight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who took non face to face classes at university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is research.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individual interviews from April to July 2021.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the person who have diverse experiences, who are preparing for changing educational paradigm, and who are challenging for growth. Conclusions Ther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providing the resource for effective non face to face class practical way in teacher training cours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