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search Trends on Parents-Child Interaction Therapy in Korea (1991-2020)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좌겸(Kim, Jwa Gyeom) 이상희(Lee, Sang H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23호, 609~617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국내 부모-아동 상호작용치료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부모-아동 상호작용치료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학문적 발전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1991년부터 2020년까지 발표된 국내 석사학위 논문 4편, 박사학위 논문 4편과 국내 학술지 13편을 합하여 총 21편의 부모-아동 상호작용치료 관련 논문을 대상으로 연도, 연구 대상, 연구 방법, 연구 회기의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빈도분석 결과 연도별 연구 동향은 2018, 2019년도에 연구가 가장 많이 발표되었고, 연구 대상과 그 특성은 유아-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문제행동 특성을 보이는 대상이 가장 많았다. 연구 방법으로는 양적 연구가 가장 많이 진행되었으며, 개입 회기는 9~16회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국내의 부모-아동 상호작용치료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기존 연구 경향에서 보다 다각적인 연구 방향을 모색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search treds in Parent-Child Interaction Therapy in South Korea. Methods Thus we analyzed 21 Korean research papers published between 1991 and 2020. We grouped our reseults into four categories using the research trend analysis method. Results Those categories were research year, age, type of disability, methos, and type of intervention sessions. As a result of analyzing researches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were published in 2018 and 2019. The researches mostly aimed to behavior problems children, aged 3-7, and their mothers. In addition as a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the most, and the most intervention session were 9 to 16 sessions. Conclusions The results reveal the current status and limitations of PCIT research. These als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PCIT and researc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