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Five Senses Cooking Activity on the Playfulness, Dietary Attitude and Dietary Behavior of Infa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현애(Park, Hyeon Ae) 최선영(Choi, Sun Yo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23호, 705~71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오감요리활동이 영아의 놀이성과 식태도 및 식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경남 J시에 소재한 H어린이집과 S어린이집의 만 2세 영아들(실험집단 11명, 비교집단 11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실험집단은 오감요리활동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식재료 탐색활동을 6주간 총 12회 실시하였다. 영아의 놀이성, 식태도 및 식행동 검사도구를 이용하여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윌콕슨 부호 순위검증과 맨-휘트니 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첫째 오감요리활동이 신체적 자발성, 사회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 즐거움의 표현, 유머감각 등 유아의 놀이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오감요리활동이 영아의 식태도 및 식사예절, 편식교정, 바른식습관 등 식행동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결론적으로 오감요리활동이 영아의 놀이성과 식태도 및 식행동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ive senses cooking activity on the playfulness, dietary attitude and dietary behavior of infant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wenty two 2-year old infants(11 experimental group and 11 control group) of H and S daycare center located in J-city, Gyeongnam. The experiments was done 12 sessions during an 6 week period in the experiment group using food material exploring activities and in the control group using food material exploring activities based on the standard nursing curriculum. The pre- and post-test were conducted using the test tools for playfulness, dietary attitude and dietary behavior and the data analysis was based on Wilcoxon Signed Rank Test and Mann-Whitney U Test using the SPSS 25.0 program. Results First, five senses cooking activity had the positive effect on the playfulness in terms of five sub-areas of playfulness: physical spontaneity, social spontaneity, perceptional spontaneity, expression of joy, and sense of humor. Second, five senses cooking activity had the positive effect on the dietary attitude, dietary behavior in terms of three sub-areas of dietary behavior: eating etiquettes, correcting picky eating, and right eating habit. Conclusions In conclusion, five sense cooking activity are the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for developing the playfulness, dietary attitude and dietary behavior.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