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Traumatic Experience Adults and Post-Traumatic Growth: Mediation of Spirituality and Forgivenes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송이(Song-Yi Kim) 이수경(Soo-Kyoung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22호, 341~35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1.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외상사건을 경험한 성인들에게 외상 이전의 삶보다 성장하여 이전의 삶과 다른 삶을 살아가는데 영성과 용서가 중요한 변인임을 검증하여 외상 후 성장을 이루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대에서 60대의 성인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서울, 경기, 지방대도시의 교회, 대학교, 아동보육시설, 사회복지시설 등에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총 219부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결과 첫째, 성인의 외상경험과 영성, 용서, 외상 후 성장은 서로 관계를 맺고 있을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었고, 외상경험과 영성, 용서, 외상 후 성장은 부적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성과 용서는 외상 후 성장과 정적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의 영성은 외상경험과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 번째 결과로 성인의 용서는 외상경험과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외상을 극복하고 성장에 이르는데 영성과 용서가 중요한 변인이라는 것이 검증되었다. 외상을 경험한 사람들에게 영성과 용서를 통한 외상에 대한 긍정적 재평가가 삶의 의미를 발견하고 살아갈 희망을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help adults who have experienced traumatic events achieve post-traumatic growth by verifying that spirituality and forgiveness are important factors in helping adults who have experienced traumatic events grow and live a life different from their previous life.
Methods The subjects included persons with traumatic experiences in their 20s-60s. This study returned 241 copies of questionnaires from adults in their 20s-60s in churches, universities, child care centers and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ll of which are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local metropolitans, and used 219 copies in the analysis of data, by excluding insincere ones.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the SPSS 2.0 statistical program.
Results First, the hypothesis that adults traumatic experiences would have relationship with spirituality, forgiveness and post-trauma growth was supported and it was found that traumatic experiences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spirituality, forgiveness and post-trauma growth, while spirituality and forgiveness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post-trauma growth. Second, adults spirituality had a ful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umatic experiences and post-trauma growth. Third, adults forgiveness had a ful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umatic experiences and post-trauma growth.
Conclusions This study verified that spirituality and forgiveness are important variables in achieving growth by overcoming trauma. Such a positive reevaluation of trauma through spirituality and forgiveness would provide hope for life to and help people who experienced trauma find meaning of lif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절차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