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urvey of Perceptions to Prepare Measures to Improve Basic Education for In-Company Trainer of Korean Apprenticeship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장신철(Jang Sinchul) 조한진(Jo Han-Ji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22호, 421~44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1.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일학습병행을 담당하는 기업현장교사를 대상으로 한 양성교육 내용에 대한 현장 활용 정도와 도움 정도, 향후 개선 방향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양성교육의 내용 개선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  기업현장교사에 대한 양성교육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설문지 초안을 개발하고, 내용타당도 확인 후 최종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이후 기업현장교사를 2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중 231부를 대상으로 기술통계, 집단 간 차이 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기업현장교사 양성교육에서 현장 활용도는 집체교육이 온라인 교육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현장 활용 시 도움 정도는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현장교사 양성교육시간의 경우 온라인 교육시간은 축소할 필요가 있는 반면, 집체교육시간은 확대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현장교사 양성교육의 큰 방향은 분야별 심화교육 강화가 필요하고, 집체교육은 분야(직무)를 구분하여 실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업현장교사 양성교육 내용은 향후 ‘강사와 평가자로서의 역할’에 대해 지금보다 더 확대해야 할 필요가 있고, 재학생 단계는 재직자 단계보다 상담자, 학습 촉진자, 교수 설계자, 연구 개발자 역할에 관한 교육 내용을 확대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기업현장교사 양성교육은 향후 일학습병행의 참여 유형과 분야(직무)를 고려해야 하고, 기업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많이 활용되는 내용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ways to improve the contents of ‘basic education’ for in-company trainer through the perception survey on the degree of utilization and help of the education at work sites in Korean apprenticeship program.
Methods  Based on the corporate in-company trainer education program, a draft questionnaire was designed, and the final questionnaire was made after confirming the content validity. After that, a survey was conducted on 253 in-company trainers, of which 231 were subject to descriptive statistics and difference tests between groups.
Results  First, as far as the degree of field utilization and help of the education is concerned, collective education is higher than online education. Second, when it comes to hours of ‘basic education’ for in-company trainer, results show that online education hours needs to reduced, while collective education hours need to be expanded in the future. Third, regarding the future direction of basic education, it seems crucial to reinforce in-depth education of each field, and collective education needs to be conducted based on fields (jobs). Fourth, more role of instructors and evaluators needs to be assigned, and compared with ‘incumbent worker program’, contents of education on the roles of counselor, learning facilitator, instructional designer, and research developer for ‘students program’ need to be more expanded.
Conclusions  It is necessary for In-company trainer education to be conducted based on the types of apprenticehip, fields (jobs) and the degree of utiliztion and help in work sites in Korean apprenticeship program
                    목차
Ⅰ. 서론
	                       
	                          Ⅱ. 기업현장교사 제도의 개요와 양성교육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