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reliminary Study of Development for the Early Childhood Teacher s Play-Based Curriculum Implementation Competences Scal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유수정(Yu, Sujeong) 이경화(Lee, Kyeonghwa)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22호, 445~46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1.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 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요인을 이론적으로 구성하고 통계적으로 타당화 함으로써, 교사 스스로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 역량을 확인하고 평가할 수 있는 측정도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방법 먼저, 『2019 개정 누리과정』의 현장지원자료와 관련 연구의 고찰 그리고 학계 및 현장 전문가 8명의 내용 검토를 통해 유아교사용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 역량 척도 시안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유아교사 30명 이 참여한 예비조사를 거쳐 305명의 유아교사가 참여한 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척도 시안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통계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척도의 구성요인을 타당화 하였다.
결과 최종적으로 도출된 ‘유아교사용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 척도’는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이해’와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실천’의 2개 영역, 9개 범주, 39개 요소 및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이해’ 영역은 ‘유아 이해’, ‘놀이 이해’, ‘국가수준 교육과정 이해’, ‘교육적 신념’의 4개 범주, 18개 요소 및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실천’ 영역은 ‘환경적 지원’, ‘소통적 지원’, ‘관찰 및 평가’, ‘공동협력’, ‘전문성 함양’의 5개 범주, 21개 요소 및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척도가 유아교육현장에서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교사의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하는 한편, 후속적으로는 체계적 표집 과정과 대규모 표본을 통해 척도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보완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validate the factors that enable teachers to evaluate their own competencies necessary for the implementation of a play-centered curriculum
Methods First, it was to construct the factors of play-based curriculum implementation competences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 During the step it conducted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survey with professional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construct the preliminary scale with the 2 areas and the 10 categories including the 39 items. Second, it was to validate the play-based curriculum implementation competences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 The step was executed to validate the preliminary scale through the 2 times survey of 335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statistical analysis for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
Results The final scale was composed of the 2 areas with ‘understanding the play-based curriculum’ and ‘actualizing the play-based curriculum in preschool settings’. The ‘understanding the play-based curriculum’ area included the 18 items of 4 categories such as ‘understanding child(ren)’, ‘understanding play’, ‘understanding the national curriculum’, and ‘educational beliefs’. The ‘actualizing the play-based curriculum in preschool settings’ area included the 21 items of 5 categories such as ‘environmental support’, ‘communicational support’, ‘observation and evaluation’, ‘communal cooperation’, and ‘professionality’.
Conclusions It is expected that the scale can be used as a useful self-evaluation tool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o implement play-based curriculum, and it is needed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 using a systematically sampled large-scale sample in the next stud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