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onstruct of Areas and Indicator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y: Focusing on the Content Validity Using Delphi Method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화록(Kim Hwa Rok) 김보현(Kim Bo Hyun) 구광현(Koo Kwang Hy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22호, 743~76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1.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놀이지원역량의 영역 및 지표를 탐색해 보는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선행연구 분석 및 전문가 검토를 거쳐 3개 영역, 7개 하위요인, 92개 문항으로 1차 지표를 구성하고 2차례의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내용타당도를 분석하였다. 1차 델파이 조사는 학계전문가 5명, 실무 전문가 8명을 대상으로, 2차 델파이 조사는 학계전문가 5명, 실무 전문가 2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결과 1차, 2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 놀이지원 역량 영역 및 지표의 내용타당도를 탐색해본 결과 인지적 역량은 놀이지원 지식(5문항), 놀이지원 기술(6문항)의 총 11문항으로, 정의적 역량은 놀이지원 신념(5문항), 놀이지원 감수성(5문항)의 총 10문항, 실천적 역량은 놀이지원 계획(5문항), 놀이지원 실행(6문항), 놀이지원 평가(5문항)의 총 16문항으로 최종 지표가 구성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구성된 지표는 내용타당성이 입증되었으므로 이후 심도 있는 이론적인 논의를 통해 측정 지표를 영역별로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과정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reas and indicators of play support competency that can evaluate play support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ethods To this end, the first draft, which consists of 3 domains, 7 sub-factors, and 92 questions, was developed through the analysis of prior researches and expert review, and then the first Delphi survey was conducted with 5 academic experts and 8 practical experts. As the result of the first survey, the second draft was composed and was followed by the second Delphi survey conducted targeting 5 academic experts and 20 practical experts.
Results Through the methodological process, the final indicators, which consists of 3 domains, 7 sub-factors, and 37 items, was identified. The first domain is cognitive competency whose sub-factors are ‘play support knowledge’ made of 5 items and ‘play support skills’ constructed of 6 items. The second domain is affective competency whose sub-factors have ‘play support belief’ composed of 5 items and ‘play support sensitivity’ formed of 5 items. The third domain is practical competency whose sub-factors contain ‘play support plan’ made of 5 items and ‘play support implementation’ composed of 6 items, and ‘play support evaluation formed of 5 items.
Conclusions The indicators constructed through this study were proven to be valid. Therefore,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validating the indicators by area through in-depth theoretical discussions should proceed based on this stud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