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ingle-Case Study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with Application of Meditation for Depression and Anxiety Experienced by Middle-Aged Wome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서영(Seo-Yeong Choi) 송영숙(Yung-Sook S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22호, 777~79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1.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명상 적용 인지행동치료가 중년 여성의 우울과 불안 감소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 실시 과정에서 드러나는 중년 여성의 인지 변화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 방법은 2020년 12월부터 2021년 3월까지 총 12회기를 주 1회, 90분씩 우울과 불안을 호소하는 57세의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한 단일사례연구이다. 참여자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첫째, 우울 검사와 불안 검사를 사전, 사후 실시해서 비교하였으며 둘째, 매 회기 표현된 내담자의 인지 사고 내용을 토대로 우울과 불안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는 첫째 상담 개입으로 인해 심리검사에서 우울 및 불안 수치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매 회기에서 표현된 우울과 관련된 인지 사고 내용 가운데 초기에는 ‘아무도 못 믿음’, 중기에는 ‘실패에도 패배감 안 느낌’, 후기에는 ‘생각을 바꿔서 보니 고마움이 느껴짐’ 등으로 우울 반응이 낮아졌고 불안과 관련된 인지 사고 내용에서 초기에는 ‘모든 것에서 느끼는 불안’, 중기에는 ‘걱정은 있지만 불안은 줄어듦’, 후기의 ‘인간관계가 편안해짐’ 등으로 불안 반응이 낮아졌다.
결론 따라서 명상 적용 인지행동치료는 중년 여성의 우울과 불안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effect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with application of meditation on the reduction of depression and anxiety experienced by middle-aged women, and to analyze the cognitive changes that occur during the application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with application of meditation.
Methods It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12 sessions of 90 minutes each week from December 2020 to March 2021. Firstly, depression and anxiety test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to observe the participants’ changes. Secondly, the changes in depression and anxiety were compared based on the participants’ cognitive thinking expressions in the therapy.
Results Studies have shown that both depression and anxiety levels decreased after mindfulness-based cognitive-behavioral therapy. Moreover, the cognitive thinking expressions related to depression were changed as “I can’t trust anyone” in the early stage, “I am not discouraged by failure” in the middle stage, and “I feel grateful for the people in my life” in the latter stage. The cognitive thinking expressions related to anxiety were changed as “I feel anxiety from everything” in the early stage, “I have some concerns but experience low anxiety levels” in the middle stage, and “I feel comfortabl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the latter stage.
Conclusions Conclusively, it is confirmed that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with application of medit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reduction of depression and anxiety level in middle-aged wome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