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Understanding early childhood teachers’ practices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Focusing on the ‘teacher agency’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은지(Cho, Eun-Ji) 이경진(Lee, Kyoung-Ji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22호, 939~95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1.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최근의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실행이 유아 교사들에게 이전과는 다른 역할을 요구한다는 전제하에, 변화하는 사회적 환경과 교육과정 실행 속에서 나타나는 교육과정 실행 주체로서 유아교사 경험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유아교육기관에서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유아 교사 17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은 FGI와 면담, 저넉을 통하여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포커스 그룹은 5~6명씩 3그룹으로 나누어서 3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결과 교육과정 행위 주체자의 관점에서 개정 누리과정 운영에 대한 유아교사의 경험에서 실행에서 오는 모호함의 연속은 ‘교사 간 서로 다른 이해에서 오는 딜레마’, ‘유아들의 흥미 차이에서 오는 딜레마’, ‘놀이 주제 시작에서 오는 딜레마’, ‘교사의 역할에 대한 딜레마’로 나타났다. 모호함에서 벗어나기 위한 실행주체로서의 노력에서는 ‘같이 이야기 하고 같이 놀기’, ‘들여다보고 귀기울이기’, ‘연구하는 교사되기’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실행 주체로서 모호함 속에서 새로움 찾기는 ‘다르게 바라보기’, ‘자유로움에 적응해가기’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교육과정 행위 주체자의 관점에서 개정 누리과정 운영에 대한 유아교사의 경험을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s a curriculum practice in the changing social environment and curriculum implementation, assuming that the implementation of the revised Nuri course requires a different role from before.
Methods The experiences of 17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re operating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Data collection was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and journals with FGI and analyzed. The focus group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of five to six people and conducted three times.
Resul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eacher agency’, a series of ambiguity arising from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 in the operation of the revised Nuri course was found to be ‘dilemmas from different understandings between teachers,’ ‘dilemmas from differences in children s interests,’ and ‘dilemmas about the role of teachers.’ Efforts as an implementing entity to escape ambiguity appeared to be ‘talking and playing together,’ ‘looking in and listening,’ and ‘being a teacher who studies.’ Finally, finding newness in ambiguity as the subject of implementation was found to be ‘looking differently’ and ‘adapting to freedom’.
Conclusions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the exper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operation of the revised Nuri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urriculum practicer.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