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o Strengthen the Art Education Competencies of Nursery Teachers and Art Teachers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성화(Seong-Hwa Lee) 김경숙(Kyoung-Suk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22호, 969~99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1.30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통해 현장 전문가인 유아교사, 미술교사, 관리자 집단이 제안하는 유아교사 및 미술교사의 미술교육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심층적인 의견을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FGI는 계획, 모집, 진행, 분석 및 보고 등 4단계의 절차대로 진행되었다. 계획단계에서 연구도구인 면담질문지를 구성하였으며, 모집단계에서 선정기준에 따라 유아교사 4명, 미술교사 4명, 관리자 4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진행단계에서 각 집단별로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및 보고단계에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FGI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은 핵심역량 중심이어야 하며, 교사가 유아미술교육에 대한 이론적 교수역량을 기반으로 실천적 교수역량을 함양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독창성, 매체활용, 신명(흥), 이미지 구성, 통합성은 우선 함양해야 하는 문화⋅예술 공통역량 구성요소로, 문화적 정체성, 타문화 이해, 개방성, 공감은 (협의의)문화역량, 호기심, 열정, 응용, 감수성, 수용력은 예술역량, 미술을 통한 소통, 자연과 사물과 사람과의 교감능력, 미적 안목, 통합적 사고능력은 미술역량 구성요소 중 우선 함양해야 하는 구성요소로 제안하였다. 이에 유아교사 및 미술교사의 미술교육역량 강화 프로그램은 구축측면과 내용측면이 고려되어 개발되어야 한다.
결론 프로그램의 구축측면에서는 결과로 도출된 18개의 구성요소를 함양할 수 있는 순차적⋅지속적인 프로그램으로 개발되어야 하며, 내용측면에서는 유아미술교육에 대한 교사의 이론적 교수역량을 기반으로 실천적 교수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동기유발-체험-표현-이해-내재화 과정이 연계성을 가지고 선순환되도록 개발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sis detailed opinions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o strengthen the art education competencies of nursery teachers and art teachers provided by specialists such as nursery teachers, art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art educatio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managers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Methods The FGI proceeded according to the four-step procedure: planning, recruitment, progress, analysis and reporting. In the planning stage, an interview questionnaire was formed as a research tool, and in the recruitment stage, 4 nursery teachers, 4 art teachers, and 4 managers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In the process stage,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each group. In the analysis and reporting stag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Results The results deriv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should be centered on core competencies, and teachers should be able to cultivate practical teaching competencies based on theoretical teaching competencies for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Second, the research participants suggested originality, media use, excitement, image composition, and integrity as components of cultural and artistic common competencies that should be cultivated first. They suggested cultural identity, understanding of other cultures, openness, and empathy as components of (in the narrow sense)cultural competencies that should be cultivated first. They suggested curiosity, passion, application, sensibility, and receptiveness as components of artistic competencies that should be cultivated first. And they suggested communication through art, communication ability with nature, objects and people, aesthetic perspective, and integrated thinking ability as components of art competencies that should be cultivated first. A teacher s art education competencies program that can cultivate this should be developed considering the construction aspect and the content aspect.
Conclusions In aspect of program construction, it should be developed as a sequential and continuous program that can cultivate the 18 components derived as a result. In aspect of contents, the motivational-experience-expression-understanding-internalization process that can cultivate practical teaching competencies based on the teacher s theoretical teaching competencies for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to have a connection but to be a virtuous cycl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