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A New problem-Solving model in the Social Studies Economy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최병모(ByungMo Choi) 박형준(Park, Hyung Joon) 전희옥(Jun Hee Ok) 김경모(Kim Kyung Mo)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22권 제3호, 187~229쪽, 전체 4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7.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학교 사회과 경제교육에서 감성개발과 의사결정 및 문제해결 사고를 촉진하는 데 크게 기여한다고 볼 수 있는 신문제해결학습 사례를 개발하여 적용해 봄으로써, 실험 결과에 따른 시사점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교사회과 경제교육의 발전에 기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사회과 경제교육에서 신문제해결학습의 현장 적용에 따른 실증분석 연구를 통해 내릴 수 있는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학교 현장에 적용 가능한 신문제해결학습 모형 수업 사례의 개발과 적용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둘째로, 학교 사회과교실에서 신문제해결 수업모형을 활용함으로써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과, 고급사고력의 육성, 학습욕구 유발, 지식 기능 가치, 참여 등의 통합적 지도, 수행평가 가능 등의 측면에서 매우 긍정적인 교육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보인다. 셋째로, 신문제해결학습 모형을 현장에 적용함에 있어서 발생 가능한 문제점으로, ‘시간부족’, 모둠의 동질성 확보, 교실 현장의 교육과정 운영여건 성숙문제, 문제중심 교과 내용의 조직 필요성 등의 문제 등을 지적할 수 있다.연구결과를 통해 볼 때, 학교 현장에 신문제해결학습이 원활히 정착되기 위해서는 이 수업운영에 필요한 사회과 경제관련 교육과정 구조전반의 변화가 요구된다고 본다.
영문 초록
The Effect of A New problem Solving model in the Social Studies Economy Education was analysed in this the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y making and verifying Experiment study of a new problem solving model and it s lesson in the social studies economis Education, as a result, to make a contribution to achieving the good economic education in the Korean social studies class room.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firstly, theoretical background of a new problem solving model was discussed and it s lesson model has been made. Secondly, instrument(learning achievement ability, the opinion of the student and the teacher about a new problem solving model) that is, the experiment with a new problem solving model has been made. Thirdly, a new problem solving model lesson was applied in the classroom, and cause and effect by using statistical and interpretative method was analysed. And, we found a new problem solving model is more effective in terms of economic education than traditional instruction. In conclusion, we can propose the activation of a new problem solving model for economic problems resolution in knowledge centered society, the necessity of a new problem solving model in the social studies.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사회과 경제교육에 있어서 신문제해결학습 모형에 대한 논의
Ⅲ. 사회과 경제교육에 있어서 신문제해결학습 적용을 위한 설계
Ⅳ. 사회과 경제교육 신문제해결학습 적용효과 분석
Ⅴ. 나오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