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컴퓨터 활동에서의 사회적 능력 집단 구성과 유아간 사회적 상호작용

이용수 6

영문명
A Grouping by Social Competence and Social Interaction among Young Children in Computer Activities.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최미숙(Choi, Mi-Sook) 최기영(Kee Young Choi)
간행물 정보
『교원교육』제22권 제3호, 231~24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7.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 컴퓨터 활동에서 사회적 능력별 집단 구성에 따른 사회적 상호작용이 어떠한 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이를 통해 유아 컴퓨터 활동 시 사회적 상호작용을 촉진시키는 효과적인 집단 구성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5세 유아 36명으로 평균연령은 5년 9개월이다. 연구결과 첫째, 컴퓨터 활동 집단구성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은 전체적으로 긍정적 상호작용이 부정적 상호작용보다 매우 높게 나타났다. 둘째, 컴퓨터 활동 집단구성에 따른 긍정적 상호작용은 각 집단구성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사회적 능력이 높은 유아와 낮은 유아가 함께 활동한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긍정적 상호작용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컴퓨터 활동 집단 구성에 따른 부정적 상호작용은 각 집단구성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young children socially interact according to the grouping by their social competence in computer activities. Subject were thirty-six 5-year-olds at 3 public kindergarten classrooms in Jeonbuk Province. The instrument for children s social competence was the Young Children s Social Competence Instrument. The Kid Pix Studio and ‘Orly s Draw -A- Story were CD-ROM titles used for discovery learning in computer activities. The observation tool was used to analyze young children s social interaction in computer activities, The subjects were assigned into one of three groups by their social competence. And their social interactions shown during computer activities were observed for five week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overall social interaction, positive interactions were much higher than negative interactions in computer activities. And children s social interactio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rouping by social competence. Second, the positive interactions were observed in the order of suggesting, asking and accepting. And children s positive interactio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rouping by their social competence. Third, the negative interactions were observed in the order of ordering and demanding, declining, and blaming, And children s negative interactio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rouping by their social competen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미숙(Choi, Mi-Sook),최기영(Kee Young Choi). (2006).컴퓨터 활동에서의 사회적 능력 집단 구성과 유아간 사회적 상호작용. 교원교육, 22 (3), 231-248

MLA

최미숙(Choi, Mi-Sook),최기영(Kee Young Choi). "컴퓨터 활동에서의 사회적 능력 집단 구성과 유아간 사회적 상호작용." 교원교육, 22.3(2006): 231-248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