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Analysis of the Children s Character Related National Curriculum of Kindergartens - A Foundational Study Ⅵ for the Development of the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Program with a Multicultural Approach based on Korean Value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김숙자(Kim, Suk Ja) 김현정(Kim, Hyun Jung) 이순천(Lee, Sun Cheon) 박현진(Park, Hyun Jin)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28권 제1호, 165~18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1.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시대적 요구에 맞춰 개정된 국가고시 유치원 교육과정에 나타난 유아 인성 관련 교육내용은 어떠한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 대상은 제1차 유치원 교육과정부터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까지이며, 분석 준거로 사용된 인성 분류체계는 개인 영역의 내면적 자아, 외현적 자아와 공동체 영역의 대인관계, 공동체 의식, 민족성, 세계시민성의 6개 범주와 범주별 하위 내용이다. 분석결과, 모든 국가고시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유아 인성 관련 교육내용이 나타났으며, 제5차 유치원 교육과정 이후에 빈도가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내용에 있어서도 큰 변화가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following research is to recognize the children s character related national education of kindergartens that are revised by the demands of the times, through analyzing the national curriculum of kindergartens.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is the national curriculums of the kindergartens which the country decides and maintains, examining the 1st kindergarten curriculum to the present 2007 revised curriculum. The analytical criteria and were constructed each according to its criteria and they are as following: internal self-identity , external self-identity , interpersonal relation , sense of community , nationality , and global citizenship . The children s character related education contents appeared in the all of the national course of study. Also after the 5th course of study, the frequency of the children s character education contents was increased by a significant amount and there were changes in the conten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