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the Project-Based Multimedia Authoring Class on Occupational Key Competencie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최웅선(Choi, WoongSeon) 서영민(Seo, YoungMin) 이영준(Lee, YoungJun)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27권 제4호, 1~1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0.30

국문 초록
지식정보사회에서 직업기초능력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성공적인 직업인을 육성하기 위한 방안이 계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직업 교육을 담당하는 전문계고교의 경우 졸업생들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교사 및 산업체의 만족도는 낮은 상황이다. 본 연구는 전문계 고교 상업계열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 중 문제해결능력 및 경력개발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전자계산 실무 교과의 멀티미디어 자료 제작 단원에 적합한 프로젝트 기반 학습 모형을 연구, 적용한 후 직업기초능력 진단도구를 이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프로젝트 학습의 적용이 전통적 실습수업 집단에 비하여 문제해결능력 및 경력개발능력 신장에 더욱 효과기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직업기초능력을 고려한 교육 방법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학교 현장에서 직업기초능력 향상을 위한 다양한 시도와 노력이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he career development ability of the students of vocational high school, this study examined and applied a project-based learning model suitable for multimedia data authoring section of electronic computing practice, and then verified its effectiveness by an assessment instrument for the Occupational key competence. As a result, both the traditional practice class and the project learning showed significant effectiveness in extending th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he career development ability. However, the result of post-examination reveal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raditional practice class group and the project-based learning group was significant, suggesting that the application of project-based learning was more positive in the extending of th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he career development abilit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및 적용
Ⅳ. 연구 결과 및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