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fluence of Teacher s Scaffolding in Art Class on Creative Thinking of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이창림(Lee, Chang-Lim) 이경아(Lee, Kyung-A)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27권 제4호, 407~43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0.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교육 현장에서 교사의 수업방법 개선으로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를 이끌어내는 데 있다. 교사의 교수 방법에 따라 학생들이 체감하는 미술수업의 질은 다르다.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를 돕고 자유로운 표현활동이 되게 하려면 교사는 일방적인 주입식 설명보다 학생들이 가진 창의성을 발현시킬 수 있도록 교수관점을 세우고 교수활동을 해야 한다. 이에 연구자는 스캐폴딩(scaffolding)의 활용이 미술수업에서 창의적 사고를 위한 효율적인 교수-학습 활동이 될 수 있음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담당한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하여 2010학년도부터 2011년 현재에 이르기까지 2년간 스캐폴딩을 적용하고 관찰 하였다. 이에 대한 수업사례로는 협동학습과 개별학습의 경우로 나누어 하위 영역으로는 직소모형을 활용한 리믹싱 클립(remixing clip) UCC와 시뮬라크르(simulacre)현상을 활용한 타이포그래피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at promoting creative thinking of students through improvement of teaching method in art class. The quality of art class felt by students is different according to teaching method of teacher. If he helps creative thinking and free expression of students, teacher has to instruct on the basis of teaching perspective so as to promote creative thinking of students instead of using one-sided cramming method of teaching. In this regard, I payed attention to the fact that application of scaffolding can be the effective Teaching-learning activity to promote creative thinking of students in art class. In this study I applied scaffolding to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my charge from the year 2010 to 2011 for two years and observed them. As an example of lesson for this result, I presented remixing clip UCC using jigsaw model and typography using simulacre as sub part of two kinds of teaching model-cooperative and individualized study.
목차
Ⅰ. 여는 글
Ⅱ. 스캐폴딩(scaffolding)의 개념과 활용
Ⅲ. 창의적 사고를 위한 미술교사의 스캐폴딩 활용의 실제
Ⅳ. 맺는 글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