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of Robot Instruction Materials of Technology-Home Economics by ADDIE Model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김정훈(Kim, Jeong-Hoon) 우상호(Woo, Sangho) 김진수(Kim, Jinsoo)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26권 제3호, 57~7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7.30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통합 신설된 기술ㆍ가정 교과의 ‘전자 기계 기술’ 단원을 위한 로봇 수업자료를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수업자료의 개발과정은 ADDIE 모형에 의한 분석(Analysis), 설계(Design), 개발(Development), 실행(Implementation), 평가(Evaluation) 이다. 개발된 수업자료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학습콘텐츠 개발지침의 평가준거에 의거하여 전문가 집단에게 평가받았으며, 학습자에게 실제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자료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교수·학습 콘텐츠 개발모형의 준거와 ADDIE 모형에 의한 활동들을 구성하여 5가지 측면으로 준거를 구성하였다. 연구의 절차는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5단계로 진행하였다. 둘째, 개발된 수업자료는 레고 마인드스톰을 수업교재로 활용한 학습 지도안, 학습 활동지, PPT, 수업교재 안내서이며, 이 수업자료를 통해 실제 수업에 적용하였다. 셋째, 실제 수업에 적용해 본 결과 학습자들은 로봇에 많은 흥미를 나타냈으며, 전체적으로 수업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수업자료를 전문가 집단에 의해 효과를 검증한 결과 상당수 평가 영역에서 그 효과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효과가 낮은 영역과 개선을 위한 서술형 의견을 반영하여 수업자료를 개선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 of robot instruction material in Electronic-Mechanic Technology unit-revised curriculum of technology-home economics. The process of study is develop using ADDIE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model. The developed material was evaluated by expert group on the basis of evaluation criteria on learning contents using guidelines develop by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KICE). The study try to figure out the effect when the material is applied to learners. The findings of the study is summarize below. First, develop teaching plan which applies LEGO Mindstorms into instruction material, the papers for learning activities, PPT, and the guidelines for the instruction material. then apply it to the authentic instruction. Second, As a result, the learners showed a strong interest in the robot and it is analyzed that overall satisfaction for the instruction was very high. Third, The validity of the material was evaluated by expert group. The validity of analysis was very high. The material was improved in low validity sec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