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 Focusing on metaphor analysi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장미연(Mi-Yeon Ja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21호, 21~3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1.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한국 전래동화’에 대한 인식연구를 은유분석을 통해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경남지역 유아교사 163명을 대상으로 구글 설문지를 통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체계적 은유분석 절차에 의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영유아기 마음의 평가를 주는 동화, 두 번째, 시시하고 고정관념이 담긴 동화 세 번째, 다양한 삶의 교훈이 있는 동화, 네 번째, 우리 전통의 삶과 지혜가 담긴 동화, 다섯 번째, 친근하며 쉽고 재미가 있는 동화, 여섯 번째, 영유아기 필수적 경험으로써의 동화, 일곱 번째, 다양한 활동으로 확장할 수 있는 동화, 여덟 번째, 시리즈 형태로 구성된 동화가 포함된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통해 유아교사들이 인식하는 한국 전래동화의 강점은 공유하고 확산하며, 한국 전래동화의 부정적 인식은 보완하고 개선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 through metaphor analysis.
Method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163 early childhood teachers in Gyeongnam region through a Google questionnaire.
Results The results derived by the systematic metaphorical analysis procedure are as follows. First, fairy tales that give evaluation of the hearts of infants and children, second, fairy tales with trivial and stereotyped ideas, third, fairy tales with various life lessons, fourth, fairy tales with our traditional life and wisdom, fifth, friendly and friendly It includes a fairy tale that is easy and fun, the sixth, a fairy tale as an essential experience for infancy, seventh, a fairy tale that can be expanded into various activities, and the eighth, a fairy tale in a series form.
Conclusions Through these results, the strengths of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 recogniz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can be shared and spread, and the negative perception of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 can be used to supplement and improv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