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the Positive Resistance Behavior of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Class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유명희(Ryu, Myounghee) 권동택(Kwon, Dongtai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21호, 597~609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1.15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초등학교 수업 속에서 관찰되는 학생의 저항 행동 중에서도 긍정적 저항이 있음을 밝히고 긍정적 저항행동을 분석하고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초등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개방형 설문조사를 통해 수업 속에서 학생의 저항 행동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학생의 저항 행동 중 긍정적 저항 행동에 초점을 맞춰 Van Kaam(1969)의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수업 속 학생의 긍정적 저항 행동은 53개의 의미 있는 진술, 10개의 부주제, 4개의 주제 및 2개의 범주로 분류되었다. 범주 1은 ‘비언어적인 긍정형 저항 행동’으로 ‘순응적 노력’과 ‘부가적 행동’이라는 주제로 나눌 수 있었다. ‘순응적 노력’은 ‘긍정적 시도’와 ‘부가적 행동’이라는 부주제로 이루어졌다. 범주 2는 ‘언어적 긍정형 저항 행동’으로 ‘직접적 피드백’과 ‘질문하기’라는 두 주제로 나뉘었다. ‘직접적 피드백’은 ‘활동에 대한 의사표현하기’와 ‘요구하기’의 두 부주제로 나뉘었다. ‘질문하기’는 ‘내용이나 방법에 대해 질문하기’, ‘기억을 상기시키는 질문하기’, ‘절차를 확인하는 질문하기’의 세 부주제를 포함하고 있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를 통해 학생의 긍정적 저항 행동의 의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nd examine the meaning of the positive resista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lass.
Methods The study is to analyze the 200 students open questionnaires from 5th to 6th grade students. Data was analysed by the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of Van Kaam(1969).
Results Data was sorted into 53 meaningful statements, 15 sub themes, 6 themes, and finally 2 categories. The first category was ‘nonverbal positive resistance behaviors’ including ‘adaptive effort’ and ‘additional action’. The second category was ‘verbal positive resistance behaviors’ including ‘direct feedback’ and ‘Asking questions’. Category 1 was divided into the themes of ‘adaptive effort’ and ‘additional behavior’ as ‘nonverbal positive resistance behavior’. Again, ‘adaptive efforts’ were divided into ‘positive attempts’ and ‘additional actions’. Category 2 was divided into two themes: ‘direct feedback’ and ‘Asking questions’ as ‘verbal positive resistance behavior’. ‘Direct feedback’ was divided into two sub-themes: ‘Expressing opinions about activities’ and ‘Requesting’. ‘Asking questions’ includes sub themes such as ‘Asking questions about content or method’, ‘Asking questions that remind memories’, and ‘Asking questions that check procedures’.
Conclusions Focusing on these results, discussion on the exploration and significance of experience of positive resistance behaviors in class was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