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Disaster Awareness, Disaster Preparedness, and Disaster Response Abilit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Servic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주경숙(Joo Kyung Soo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21호, 877~885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1.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재난인식, 재난준비도 및 재난대처능력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경기도 소재 2개의 전문대학교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 266명이며, 2019년 10월 1일부터 2019년 10월 30일까지 수집된 자료를 SPSS 23.0을 통해 Cronbach s α,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재난인식 정도는 재난교육경험, 지역의 발생 가능한 재난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재난준비도 정도는 성별, 대학의 재난대비 모의훈련, 대학의 재난관리 매뉴얼, 지역의 발생 가능한 재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재난대처능력 정도는 성별, 재난교육경험, 재난교육제공자, 대학의 재난대비 모의훈련, 지역의 발생 가능한 재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 검정한 결과 재난교육제공자는 ‘대학’이 ‘대중매체’ ‘기타’ 보다 재난대처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상관관계의 경우 재난인식은 재난준비도(r=-.185, p=.002)와 재난대처능력(r=.408, p<.001)에서 재난준비도는 재난대처능력(r=-.290, p<.001)과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항공 산업분야에서 예고 없이 발생하는 가변적 재난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재난대처능력이 중요하며 이를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방안이 요구됨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 of disaster awareness, disaster preparedness, and disaster response abilit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services.
Methods The research subjects were total 266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services of two colleges in Gyeonggi-do. The data collected from October 1st 2019 to October 30th 2019 was analyzed by using the Cronbach s α, t-test, ANOVA, Scheffe s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rough the SPSS 23.0.
Results The degree of disaster percep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saster education experience and possible regional disaster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degree of disaster preparedn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college disaster-coping simulation exercise, college disaster management manual, and possible regional disaster. In the results of post-test, as the disaster education provider, the ‘college’ showed the higher disaster response ability than ‘mass media’ and ‘others’. In case of correlation, the disaster awareness had correlations with disaster preparedness(r=-.185, p=.002) and disaster response ability(r=.408, p<.001) while the disaster preparedness had a correlation with disaster response ability(r=-.290, p<.001).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verified that the disaster response ability would be important for solving such variable disaster situations that would unexpectedly happen in the aviation industrial area, so there should be education measures for enhancing the disaster response abili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