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Outdoor Workers with Heatwave Experience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Jae Young Lee Sungsu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17 No.5, 95~11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5.30

국문 초록
대부분의 폭염에 대한 연구는 기후와 피해자의 인구통계학적 정보 또는 피해지역 상관관계 분석을통한 취약계층 또는 취약지역을 분석하는 데 그침으로써 원인 규명에 한계를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실외노동자를 대상으로 온열 질환 증상 경험 여부에 따라 온열 질환과 연관된 심리적 요인을파악하기 위해 혼합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양적연구인 기술통계분석의 결과 실외노동자는 30.65%가 온열 질환 증상을 경험하였고,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책임감과 성실성은 온열 질환증상 경험에 정(+)의 영향, 집단에서의 자아존중감이 온열 질환 증상 경험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질적연구 결과 연구대상자들은 삶의 경험에서 책임감과 성실함에 높은 가치를 두고 있어 집단에서 노력함이 나타났으며, 온열질환에 취약한 심리적 기제가 있음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폭염으로 인한 피해 감소를 위해 새로운 관점인 피해자의 심리특성 요소를 규명하였다는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에 폭염 피해의 원인 규명 및 취약성 분석을 위하여 다양한 관점으로 개입하여 피해를 저감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Most studies on heatwave disaster show limitations in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limate and the victims’ demographic information or the affected area only to analyze the vulnerable group or the vulnerable area.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mixed study to identify psychological factors related to heatwave considering the experience of heatwave-related disease of outdoor workers. As the result of quantitative study using logistic regression of survey data, 30.65% of outdoor workers experienced thermal disease symptoms, and responsibility and integrity were positively affected by thermal disease symptom experience while self-esteem in the group showed the negative (-) effect. As the result of qualitative study, the study subjects placed high value on responsibility and sincerity in their life, indicating that they do the efforts as individuals in their group, and had psychological mechanism that was vulnerable to thermal disease.
목차
Ⅰ. 서론
Ⅱ. 혼합연구방법
Ⅲ. 온열질환자의 심리특성 분석
Ⅳ. 결론 및 논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