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Need Strength Inventory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김용민(Yong-Min KIM)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8권5호, 119~13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0.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현실치료의 창시자인 William Glasser가 제시하는 다섯 가지 기본욕구를 측정하는 욕구강도척도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욕구강도척도는 성취욕구, 소속욕구, 자유욕구, 재미욕구, 생존욕구를 포함한 다섯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사전검사를 통해 예비문항을 선정했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요인적재량(>.5), 교차적재량(<.32), 공통성(>.5), 신뢰도(>.8)를 충족하는 5요인 25문항을 추출했으며, 탐색적 요인분석 모델을 확인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했다. CMIN/DF(2.664), RMSEA(.065), TLI(.935), CFI(.942)가 기준을 충족해 모형적합도가 확인되었으며, 수렴타당도와 판별타당도도 확인되었다. 또한 욕구강도척도와 마찬가지로 개인행동의 원인을 측정하는 드라이버척도와 회복탄력성척도를 통해 준거관련 타당도를 확인했다. 결론에서는 본 연구가 갖는 의의 그리고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Need Strength Inventory that measures the five basic needs suggested by William Glasser, the founder of reality therapy. The Need Strength Inventory consists of five categories: achievement needs, belonging needs, freedom needs, fun needs, and survival needs. In this study, preliminary questions were selected through prior research and pre-test.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25 items of 5 factors that satisfy factor loading (>.5), cross loading (<.32), commonality (>.5), and reliability (>.8) were extracte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model. CMIN/DF (2.664), RMSEA (.065), TLI (.935), and CFI (.942) met the criteria to confirm model fit, and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also confirmed. Also, similar to the Need Strength Inventory,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was confirmed through the Driver Scale and Resilience Scale, which measure the causes of individual behavior. In conclusion,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made.
목차
Ⅰ. 서론
Ⅱ. 탐색적 요인분석
Ⅲ. 확인적 요인분석 및 척도 타당화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