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Meaning of Graduation from Marriage in Middle-aged Women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장정인(Jeong-In JANG) 강금해(Keum-Hae KANG)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8권5호, 207~22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0.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년기 여성들이 생각하는 졸혼의 의미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연구자와 또 다른 중년기 여성이며 나이는 50대이며 25년의 결혼생활을 유지하고 있다. 총3회의 인터뷰를 진행했으며 연구문제에 대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년기 여성은 주도적인 삶을 살기를 원하며 어차피 혼자인 삶을 인식하고, 졸혼 후의 삶을 살아가는 데 있어 자아실현을 하기를 원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사회적 시선을 의식하고 있으며, 긍정적 출발이라고 생각하기도 하지만 부정적 측면을 간과할 수 없음을 인식하고 있다. 또한 졸혼을 하나의 방책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이혼보다 졸혼이 가족에게 도움이 되는 유일한 대안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졸혼은 마음 내키는 대로 실천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며 아름다운 졸혼을 위해서는 남은 생의 욕구를 깊이 들여다보아야 하며 건강한 졸혼을 위한 준비과정을 거쳐야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이를 실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meaning of graduation marriage that middle-aged women think.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researchers and another middle-aged woman, in their 50s and have maintained a 25-year marriage. A total of three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the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problem are as follows. Middle-aged women want to live a leading life, recognize their lives alone anyway, and realize themselves in living after graduation. However, they are still conscious of social gaze, and even though they think it is a positive start, they recognize that negative aspects cannot be overlooked. In addition, I think graduation marriage is a policy, and I think graduation is the only alternative to helping my family rather than divorce. However, we still recognize that graduation marriage is not a matter that can be practiced as desired, and that for a beautiful graduation marriage, we need to look deeply into the needs of the rest of our lives and go through a preparatory process for a healthy graduation marriag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