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Future of School Assessment for Post-generation Z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승연(Seungyeon Lee) 정영현(Younghyun Jung) 이정연(Jeong Youn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20호, 1~2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0.31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새롭게 등장하는 알파세대(2010년 이후 출생)로의 세대 전환의 경계에 있는 Z세대의 세대 특성과 교육 평가에 관한 학생 및 교사의 경험을 탐구하고, 미래 세대의 교육평가 변화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방법 이 연구는 설명적 순차 설계를 통한 혼합연구방법을 활용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알파세대 및 Z세대에 대한 문헌검토, 사전설문, 전문가 의견 검토 등을 통해 개발한 설문조사를 통해 교사 81명과 학생 197명의 응답을 분석한 후, 도출된 연구결과의 해석을 보완하기 위해 교사 4명과 학생 9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면담을 수행하였다. 연구진은 양적 및 질적 자료에 기반한 토의 및 통합적 해석을 통해 결론을 도출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포스트 Z세대는 크게 다섯 가지의 세대 특징을 공유하고 있는 한편, 교사와 학생 간에 해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선호하는 평가의 과정도 교사와 학생 간에 대체로 차이가 있었다.
결론 이와 같이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분석한 미래세대의 교육평가 방안은 다섯 가지로 정리되었다. 특히 미래세대의 교육평가에 대한 최근의 다양한 시도와 방안이 현장에서 어떠한 요인 때문에 실천에 어려움이 있는지를 탐구함으로써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research explored the features of Post-generation Z - which is the generation cohort that belongs in the borders of change to the new Generation Alpha (generation cohort born after 2010) - and compared the perception that students and teachers have regarding their experience with the Generation. This research aims to bring out implications to how school assessment could change for the following generation.
Methods Th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a sequential explanatory design research model. First, a survey on school assessment for Post-generation Z was designed by reviewing previous research, pre-surveys, and expert group reviews. Response of 81 teachers and 197 students were analyzed, and interviews of four teachers and nine students were analyzed to supplement the comprehension of results from the survey. The researchers reached the conclusion through discussion on the thorough interpretation of the overall responses.
Results There were five main characteristics to Post-generation Z, but the interpreta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had some differences. Also, their perception of the factors of assessment was found to have differences.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research provides five main implications to where school assessment for future generations should head. Especially, this research focus on why current attempts at school assessment reform have encountered difficulties on-site and how they could be solv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