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Korean Language Career Electives Using Network Analysis Method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박종미(Bak, Jong-Mi)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36권 제3호, 77~9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7.31

국문 초록
본고는 국어 진로 선택 과목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국어 관련 직업과 직업에서 많이 요구하는 세부 전공 요건을 조사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시행한 후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 “광고언어학”, “언어와 시각 예술” 요건이 연결 중앙성 값이 높게 나타나 많은 국어관련 직업에서 동시에 요구하는 요건인 것으로 파악되었고, “광고언어학”과 “신문방송학”이 사이중앙성 값이 높게 나타나 국어 관련 직업들을 서로 이어주는 데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요건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이들 내용과 관련한 과목을 국어과 진로 선택 과목을 신설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고의 연구 결과는 선택 과목이 갖추어야 할 ‘위계성’, ‘총체성’, ‘실제성’, ‘완결성’을 다각도로고려하지는 못하였다는 한계를 가지지만, 국어 진로 선택 과목을 탐색하기 위한 초기 연구로서, 추후 본격적인 국어 진로 선택 과목을 개발하는 데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Korean language career electives, conduct detailed network requirements, and present the results after conducting a network analysi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requirements for “advertising linguistics” and “language and visual arts” were high and required for many languages related jobs at the same time. It was found that this is a requirement that plays a major role in connecting Korean language-related jobs. Therefore, it was proposed to develop a career elective related to this require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limited in that they do not take into account all of the hierarchies,totality, realism, and completeness that an elective should have. But It is hoped that this will be used as a basis for developing a Korean language course.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