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ge-related Differences in Confrontation Naming Ability according to Visual Stimulus Valence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김신희(Shin Hee Kim) 성지은(Jee Eun Sung)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6. no.3, 616~629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9.30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정서가 정상 노년층과 청년층의 대면이름대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자는 총 60명(노년 30명, 청년30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면이름대기 과제의 자극으로 IAPS 사진을 이용하였다. 결과: 대면이름대기 과제에서 두 집단 간 정반응률 및 반응시간의 차이가 유의하였으며, 노년층이 청년층보다 유의하게 낮은 이름대기 능력과 긴 이름대기 시간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서가에 따른 정반응률 및 반응시간의 차이가 유의했으며, 중립범주에 비해 정서범주(긍정, 부정)에서 정반응률이 낮았다. 반응시간의 차이는 세 정서범주 모두에서 유의하였으며 중립<긍정<부정의 순서로 긴 반응시간을 보였다. 또한 집단과 정서가에 대한 이차상호작용이 유의하였으며 이는 부정범주에서 노년층의 정반응률이 낮아지는 것과, 부정, 긍정 범주에서 노년층의 반응시간이 길어지는 것에 기인한다. 논의 및 결론: 청년층과 노년층 모두, 중립정서 범주보다 정서범주(긍정, 부정)에서 낮은 정반응률과 길어진 반응시간을 보여, 정서자극이 이름대기 수행을 방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영향이 노년층에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년층이 노화로 인한 처리 자원의 감소 및 주의력 감퇴로 인해 정서에 의한 간섭의 영향을 더 크게 받은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정서자극에 대한 노년층의 증가된 주의 편향에 의한 결과일 수 있음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emotions on the confrontation naming of healthy elders and young adults. Methods: The study had a total of 60 subjects (30 elders and 30 young adults). In the confrontation naming task, the researcher asked the subjects to say the name of the picture presented on a screen as quickly and accurately as possible. Results: Firs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significantly lower accuracy in the elders compared to the young adults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uracy according to emotional valenc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ositive and neutral emotional valance and between negative and neutral emotional valance. Additionall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group and emotional val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post-hoc test showed that the naming accuracy of the elders was lower than that of the young in the negative emotional valance. Secondly, elders had a longer response time than the young adults.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ponse time according to emotional valenc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ponse time in three emotional valences (positive, negative, neutral), and the response time increased in neutral < positive < negative. Finall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group and emotional val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ch attributed to the longer response time of the elders compared to the young adults in the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valance.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emotional valence may interfere with word production, and that such interference may be greater for the elderly than for the young.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