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Longitudinal Analysis on the Duration of Utterance in a Conversational Turn and Turn-Switching Pause in Preschool Children who Stutter during Interactions with Their Mothers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곽효정(Hyo Jung Kwak) 심현섭(Hyun Sub Sim) 이수복(Soo Bok Leeb)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6. no.3, 700~717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9.30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학령전 말더듬아동과 어머니가 일상에서 상호작용할 때 나타나는 아동과 어머니의 대화차례 발화 시간과 대화차례 쉼 시간이 아동의 비유창성과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고 일반아동·어머니 집단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상호작용 놀이 상황에서 말더듬아동·어머니 집단 6쌍과 일반아동·어머니 집단 6쌍의 발화를 두 차례(평가 시점, 평가 후 12개월 시점) 수집하여 아동의 ND와 AD 빈도, 아동과 어머니의 대화차례 발화 시간과 대화차례 쉼 시간을 분석하였다. 결과: 평가 시점과 평가 후 12개월 시점에서 말더듬아동 집단과 일반아동 집단 간 그리고 말더듬아동 어머니 집단과 일반아동 어머니 집단 간 대화차례 발화 시간과 대화차례쉼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말더듬아동·어머니 집단은평가시점에서 아동 AD 빈도가 어머니대화차례 발화시간과 정적상관관계를 보였고, 말더듬아동대화차례쉼시간, 어머니대화차례쉼시간과 부적상관관계를보였다. 평가 후 12개월 시점에서 말더듬아동 AD 빈도는 어머니 대화차례 발화 시간과 부적상관관계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말더듬 발생 및 지속과 관련 있는 아동과 어머니 간 상호작용 종단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말더듬아동·부모의 상호작용 치료를 통해 학령전 아동이 만성적 말더듬으로 발전될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longitudinally, the duration of utterance in a conversational turn, duration of turn-switching pause, and frequency of disfluency which young children who stutter (CWS) and children who do not stutter (CWNS) showed during interactions with their mothers. Methods: Subjects for this study consisted of 2-5 year old CWS (male 2 and female 4), an age-matched group of CWNS (male 3 and female 3), and their mothers. Frequencies of normal disfluency (ND) and abnormal disfluency (AD), and duration of utterance in a conversational turn and duration of turn-switching pause were measured two times (initial visit and 12 months later) over the course of one year. Results: At initial visit, a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was found in frequency of AD.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duration of utterance in a conversational turn and duration of turn-switching pause both between two parent groups and between two child groups at initial visit and 12 months later. In the CWS group, at initial visit,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frequency of AD and mother’s duration of utterance in a conversational turn. Frequency of A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both duration of turn-switching pause of mothers and that of children. After 12 month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frequency of AD and mother’s duration of utterance in a conversational tur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longitudinal study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CWS · mothers interactions can help speech-language pathologists to identify the interactional factors related to the recovery or persistence of stuttering and to enhance the efficacy of parent · child interaction therapy for CW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