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Perceptions of Difficulties Experienced by Low-Career Life Science Classroom Instructors in the Class Planning and Operation Proces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9호, 319~33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0.15
국문 초록
목적 과학기술문화 활동으로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생활과학교실의 질적 성장을 위하여 생활과학교실 강사들이 수업 전문 역량을 갖출 수 있는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효과적인 수업 역량 개발 연수 프로그램의 마련을 위해서는 생활과학교실 강사들의 교과교육학 지식에 대한 실태 파악 및 문제점 등에 대한 진단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방법 이 연구에서는 3년 이하의 저경력 생활과학교실 강사 8명을 대상으로, 심층 집단 면접(FGI)에 기반한 인식 조사를 통해 교과교육학적 지식의 특징과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즉, 2020년 11월에 줌(ZOOM)을 활용한 비대면 심층 집단 면접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반복적 비교 분석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생활과학교실 강사들은 학생들의 인지적⋅정의적 수준에 맞는 수업 자료를 준비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역량이 부족하며, 특히 강사들은 수업 목표에 적합한 수업전략의 사용이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이나 융합적 사고력 발달을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전략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며, 생활과학교실 수업에서 평가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강사들은 생활과학교실 수업 중 학생들의 돌발 행동이나 문제 행동 발견 시 적절한 대처와 지도 방법 학습에 대한 요구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생활과학교실 강사들이 자신들의 교과교육학적 지식에 대한 문제점들을 인식하고, 이를 개발해 나갈 수 있는 연수 과정의 마련이 시급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For the qualitative growth of the Life Science Classroom conducted by the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as a science and technology cultural activity, there is a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a training program in which Life Science Classroom instructors can have professional competency in the classroom. However, in order to develop the training program for improving instructors’ teaching competency, it is necessary to first identify the actual conditions and diagnose problems in the area of the instructo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Methods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PCK were investigated through a perception survey based on an focus group interview(FGI) targeting low-career Life Science Classroom 8 instructors with less than 3 years of experience. In other words, in November 2020, a non-face-to-face FGI using ZOOM was conduct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constant comparison analysis.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instructors of the Life Science Classroom lacked the ability to prepare and effectively present class materials suitable for the students cognitive and affective levels. In particular,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instructors did not use instructional strategies suitable for the instructional goals. There was a lack of understanding of strategies that could effectively guide students scientific inquiry ability or convergent thinking skills, and overall the understanding of evaluation in Life Science Classroom classes was low as well. In addition, it was shown that the instructors had a great demand for learning how to deal with students sudden or problematic behaviors during the life science classroom and learn how to teach them appropriately.
Conclusions Since it was found that Life Science Classroom instructors recognized the problems with their PCK, it was urgently necessary to prepare a training program to improve these problem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i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