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relationship-oriented ecological approach to the integrated curriculu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나라(Jung, Nara) 온정덕(Ohn Jung-Duk) 임재일(Lim Jaeil)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9호, 385~39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0.15

국문 초록
목적 교육과정 중 연계와 관계를 강조하는 통합교육과정은 그 성격상 관계 측면의 생태적 요소와 맞닿아 있는 부분이 많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생태학점 관점에서 통합교육과정의 의미와 성격을 살펴본 뒤, 앞으로의 생태학적 통합교육과정의 방향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생태학, 통합교육과정과 관련된 문헌들을 연구한 뒤, 생태적 담론에서 강조되는 요소를 관계와 전체성으로 정리하고 이 관점을 바탕으로 교육과정에서 통합의 의미를 확인하고, 기존의 통합교육과정의 한계점과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결과 형식적이며, 수단적 접근이 아닌, 내재적 목적과 분과와 통합의 관점에서 모두 접근 가능한 개념기반 교육과정, 인격적 통합, 사회적, 공동체와의 통합 등 통합의 방향을 전체성의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는 Forgaty의 통합모형, Drake의 KDB모형, Beane의 교육과정 통합 이론을 통해 앞으로의 통합교육과정 방향은 내재적, 외재적 목적의 균형, 통합적, 총체적으로 추구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결론 이런 방향을 고려한다면, 학교 전체적 접근, 질문을 바탕으로 한 학습자 중심, 학습자 주도 학습, 평생학습, 전인적 교육, 유연한 통합교육과정 적용, 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 신장은 앞으로 더욱 강조될 통합교육과정의 방향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integrated curriculum, which emphasizes connections and relationships, has many aspects that are in line with ecological factors in terms of relationships. In this regard,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meaning and nature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from the ecological perspective, and examine the direction of the integrated ecological curriculum.
Methods To this end, review of literature on ecology and integrated curriculum was conducted, and the elements emphasized in ecological discourse were organized into relationships and totality, and based on this perspective, the meaning of integration was identified
Results By examining Erickson’s concept-based curriculum, Forgati s model of integration, Drake s KDB model and Beane s theory of integration, we propose that curriculum integration should be pursued in a balanced of internal and external purposes, and holistic manner.
Conclusions We provided suggestions for the direction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which include the need for whole approach of the school, student centered learning, holistic education, flexible application of integrated curriculum, and the development of teachers’ curriculum literacy
목차
Ⅰ. 서론
Ⅱ. 관계의 생태학과 교육과정에서의 통합
Ⅲ. 관계의 관점에서 본 기존 통합교육과정의 한계
Ⅳ. 관계의 측면에서 통합교육과정 이론 고찰
Ⅴ.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