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oderating Effect of Conflict Resolution Typ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신정애(Shin, Jeongae) 신건호(Shin, Keongho)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9호, 539~55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0.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관계에서 갈등해결유형 중 통합적 협상과 분배적 협상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시,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 교사 517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변인별 기술통계치를 제시하고, 가설에서 제기한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영유아교사의 직무만족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었다. 둘째, 갈등해결유형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갈등해결유형이 영유아교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분배적 협상은 이직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통합적 협상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영유아교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갈등해결 협상유형 중 통합적 협상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고, 분배적 협상은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선행 연구결과와 논의하고, 이직의도를 감소시키는 데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확인하고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한 방안과 추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tri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grative and distributive negotiation among conflict resolution typ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orm 517 preschool teachers besed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through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descriptive statistics for each variable were presented using the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and a step-by-step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suggested by the hypothesis.
Results First, job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n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Second, conflict resolution style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hird, in the effect of conflict resolution style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distributive negotiation showed high turnover intention, and integrated negotiation did not affect turnover intention.
Conclusions Among the conflict resolution negotiation types,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grated negotiation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distributive negotiation did not have a moderating effect.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confirmed the results that affect the reduction, and suggested measures to lower turnover intention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