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2015 revised elementary 6th grade English textbook dialogues with reference to the gender discrimin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성윤미(Yun-mi Seong) 김정렬(Jeong-ryeol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9호, 807~82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0.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6학년 5종 영어교과서의 대화문 분석을 통해 성차별 요소의 여부를 판단하여 양성 평등에 가장 기반을 둔 교과서를 알아보고 향후 교과서 개발 및 교육과정 제작에 의미 있는 자료로서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5종 교과서의 대화문 총 235개에서 남녀 등장인물의 수를 파악하고, 그중 누가 대화문을 시작하는지, 그 단원의 학습목표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언어 형식을 담은 문장을 남녀 중 누가 많이 발화하고 있는지 빈도 분석 방법으로 살펴보았다. 표면적 요소 이외에, 상황이나 장소, 직업, 역할 부여 등 남녀 등장인물에게 내재된 비표면적인 성차별적 요소를 파악하여 사례분석을 통해 제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5종 중 1종 교과서를 제외한 모든 교과서에서 대화문의 남녀 등장인물의 비율이 남성이 여성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단원의 목표 언어를 포함한 주요 표현을 발화한 성별 비율이 모든 교과서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주요표현을 처음으로 발화한 첫 발화자 비율 역시 남성이 여성보다 모든 교과서에서 높았다. 넷째, 성별 주요표현 발화 수를 발화의 상황과 장소와 연관시켜 살펴본 분석에서 남성은 여성보다 다양하고, 많은 상황에서 발화하였으나 여성은 한정된 상황에서 발화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성은 사회적 공간에서 주요 표현의 발화를 더 많이 하였으나, 여성은 가정 안에서 더 높은 발화 비율을 보였다. 다섯째, 성별에 따른 직업을 살펴보면 힘이나 안전과 관련된 직업은 주로 남성과 연관되어있고, 돌봄이나 안내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직업은 여성과 연관되어 묘사됨으로써 성별에 따른 직업적 차별이 존재하였다.
결론 교과서 대화문 분석을 통해 남성과 여성에 따른 차별이 명시적으로 드러났기에 앞으로의 양성평등 교과서 편찬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글로벌 인재 육성을 목표로 하는 외국어 교육에 있어서 양성평등의 교과 콘텐츠의 제공은 학습자에게 올바른 성 가치관과 성 역할의 형성에 필수적이다. 이러한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젠더적 관점에 기초한 교과서가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gender discrimination factors in the dialogues of five English textbooks of 6th grade elementary school. The current study aims to scale out the gender equality among different English textbooks, and to provide the stakeholder with the meaningful data for the future curriculum and textbook development.
Methods Numbers of male and female characters are counted in a total of 235 dialogue sentences fro the analyzing textbooks, and which gender begins the dialogue, and which gender utters sentences containing a linguistic expressions directly related to the learning goal of the unit. The counted frequency is processed into percentage of each analytic category. In addition non-surface gender discrimination factors backgrounded in the situation, place, job, and role assignments were identified and presented through case analyses.
Resul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ale characters are more frequented in the dialogues of all textbooks except one. Second, in all textbooks, male characters speak more important and relevant utterances than female characters with reference to the learning target expressions. Third, the ratio of the first speakers uttering the target expressions is more likely to be male characters than female characters. Fourth, male characters are more likely to appear in diverse and varied situations and locations, while female characters show up in limited situations and locations. Fifth, male characters tend to have jobs of power and safety while female characters have service jobs in care and guidance.
Conclusions Through the analysis of textbook dialogue, discrimination between men and women is still apparent in English textbooks and it bears the negative implications on the female learner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 proposal was made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 for gender equali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