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 on Teaching Efficacy and Attitude Toward the Use of AI Technology by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진옥(Kim, Jin-ok)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34권 제3호, 181~19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9.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AI 기술 활용에 대한 교수 효능감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예비교사 대상의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은 G 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13명을 대상으로 2021년 4월부터 2021년 5월까지 개발되고 적용되었다.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교사 13명에게 인공지능 기술 활용에 대한 교수 효능감과 태도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수 효능감의 사전 검사 평균은 2.49점, 사후 검사 평균은 3.46점으로 나타났고 평균 점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인공지능 기술 활용 태도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에서도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예비교사들이 현장 교사의 멘토링 활동을 거쳐 인공지능 교수・학습 과정안 및 교수・학습 자료를 직접 개발하고 이를 초등학생들에게 적용해보는 경험을 해 보는 것이 예비교사의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자기 효능감과 인공지능 기술의 활용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길러줄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 on teaching efficacy and attitude toward the use of AI technology of prim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 for pre-service teachers was developed and applied from April 2021 to May 2021 for 13 pre-service teachers attending the G-University of Education. Thirteen pre-servic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 were subjected to pre-and post-tests on the teaching efficacy and attitude toward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mean of the pre-test for teaching efficacy was 2.49 points, and the mean of the post-test was 3.46 points, and the difference in the mean scor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positive changes appeared in the pre-and post-test results on the attitude to using AI technology. In particular, the positive self-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on AI education is that pre-service teachers develop AI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s and teaching/learning materials directly through mentoring activities of field teachers and experience applying them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suggests that it can foster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