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actors affecting blood pressure awareness and treatment in hypertension pati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강정희(Kang, Jeong-H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8호, 1~1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9.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고혈압 관리지표인 혈압 인지율 및 치료율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방법 본 연구는 2017년 지역사회 건강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고혈압 환자 62,099명이다. 혈압 인지울과 치료율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2017년 고혈압 유병률은 27.4%이었고, 혈압 인지율은 71.6%, 고혈압 치료율은 91.6%, 고혈압 관리 교육율은 22.1%이었다. 혈압 인지율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고혈압 관리교육(OR=1.69)과 종사자 지위(자영업자 OR=1.31, 임금근로자 OR=1.48), 동지역 거주자(OR=1.36), 비흡연자(OR=1.15), 음주자(OR=1.29), 신체활동(OR=1.06), 소금섭취수준(보통 OR=1.13, 싱겁게 OR=1.33)이었다. 그리고 고혈압 치료율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고혈압 관리교육(OR=1.18), 혈압인지(OR=2.06), 동지역 거주자(OR=1.36), 비흡연자(OR=1.15)이었다.
결론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체계적인 고혈압 관리교육을 제공하고 건강행태를 개선함으로써 혈압 인지율과 치료율 같은 고혈압 관리수준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고혈압 관리를 위한 다양한 교육홍보방법을 적용하여 혈압인지율을 높임으로써 고혈압 치료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find factors that affect blood pressure awareness and treatment in hypertension patients.
Methods The study used data from the National Community Health Survey in 2017. The subjects were 62,099 respondents who had been diagnosed with hypertension patients.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blood pressure awareness and treatment.
Results In this study,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 in 2017 was 27.4%, the blood pressure awareness rate was 71.6% and the hypertension treatment rate was 91.6%.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and income level, the more likely it was to recognize blood pressure. Self-employed (OR=1.31) wager worker (OR=1.48) and Dong area (OR=1.36), non-smokers (OR=1.15), drinkers (OR=1.29), physical activity (OR=1.06), salt intake level moderate (OR=1.13), Bland (OR=1.39) hypertension management education (OR=1.39), the less likely it was to treat high blood pressure. Dong area (OR=1.14) and non-smokers (OR=1.20), high blood pressure management education (OR=1.18), and blood pressure Awareness (OR=2.06) were more likely to treat high blood pressure. However, the more physical activity (OR=0.95), the less likely it was to treat high blood pressure.
Conclusions It will improve health behavior for hypertension patients, and systematic high blood pressure management education will increase the level of hypertension management such as blood pressure awareness and treatment rate. In addition, various educational promotion methods will be needed to increase blood pressure awarenes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