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Major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Learning Flow in Nursing Students with Premenstrual Syndrom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홍세훈(Hong, Seho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8호, 179~19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9.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월경전증후군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내적통제소재, 전공만족도, 학습몰입의 정도를 파악하고, 학업스트레스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내적통제소재와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방법 연구 대상자는 경기도에 소재한 간호대학에 재학 중이며, 월경전증후군의 증상을 경험하는 간호대학생 133명이었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3.0 Program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Baron과 Kenny의 3단계 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대상자의 학업스트레스는 6.58±2.01점, 내적통제소재는 5.34±0.79, 전공만족도는 7.61±1.63점, 학습몰입은 2.97±0.55점으로 나타났다. 학습몰입은 학업스트레스(r= -.16, p=.045)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내적통제소재(r= .41, p<.001), 전공만족도(r= .34,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전공만족도는 학업스트레스(r= -.24, p=.003)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내적통제소재(r= .41,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내적통제소제는 학업스트레스(r= -.25, p=.002)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매개효과 분석 결과, 월경전증후군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내적통제소재(Z= -2.64, p=.004)와 전공만족도(Z= -2.43, p=.007)는 각각 유의한 완전매개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월경전증후군 간호대학생의 학습몰입 증진을 위한 교육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 시 내적통제소재와 전공만족도를 중요한 변인으로 비중 있게 다룰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향후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major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learning flow in nursing students with premenstrual syndrome.
Methods A total of 133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analysis,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a three-step regression analysis using Baron and Kenny’s method for mediation with the SPSS/WIN 23.0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s for academic stress, internal locus of control, major satisfaction, and learning flow were 6.58±2.01, 5.34±0.79, 7.61±1.63, and 2.97±0.55, respectively.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learning flow and academic stress (r= -.16, p=.045). Learning flow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ternal locus of control (r= .41, p<.001) and major satisfaction (r= .34, p<.001). Internal locus of control (Z= -2.64, p=.004) and major satisfaction (Z= -2.43, p=.007) was found to complete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learning flow.
Conclusions To improve learning flow among nursing students with premenstrual syndrom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ir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major satisfaction and develop empirical personalized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major satisfaction enhancement program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